난해한 인용에 대한 고찰: 고린도후서 9장 9절에 나타난 바울의 시편 112편 9절 사용

Meditations on a Slippery Citation: Paul's Use of Psalm 112:9 in 2 Corinthians 9:9

https://doi.org/10.2307/26421414

최근 수십 년간 바울 서신 해석자들 사이에서 학문적 논쟁의 주제는 바울이 자신의 서신, 특히 성경 인용 및 암시의 의미를 이해하는 데 있어 독자들에게 기대한 해석적 역량과 노력의 정도이다. 이 글에서 나는 먼저 2 고린도전서 1:13-14절에 대한 몇 가지 간략한 고찰로 시작하는데, 이는 그 서신에서 바울의 소통 의도와 기대, 그리고 그러한 의도와 기대에 부합하는 신학적 해석에 필요한 종류의 주해에 대한 지침이 된다. 그런 다음, 2 고린도전서 9:9절에서 바울이 시편 112:9절을 인용한 사례를, 바울의 서신을 인내심 있고 공동체적이며 상호 텍스트적인 해석을 염두에 둔 소통으로 읽는 주해의 신학적 해석 가능성에 대한 사례 연구로 검토한다. 내 연구의 초점은 성경 인용문에서 "그"의 모호한 지칭 대상과 2 고린도전서 8-9장 및 정경 2 고린도전서의 더 넓은 맥락 내에서의 수사적 기능이다. 나는 바울의 언어의 표면적인 모호성이 주의 깊은 독서 공동체 내에서 신성한 은혜와 인간의 의 사이의 관계에 대한 풍부한 이해를 자극하는 기능을 하며, 이는 그 모호성을 해결하는 사회적 및 상호 텍스트적 과정에서 발생한다고 결론짓는다. 2 고린도전서의 신학적 해석에 대한 이러한 독해의 함의는 2 고린도전서 5:21에서 바울이 신자들이 "하나님의 의가 되[는]" 것을 묘사한 것이 단순히 지위의 변화뿐만 아니라 성격과 행실의 변화를 염두에 두고 있다는 주장을 강화하는 것을 포함한다.

A topic of scholarly debate in recent decades among interpreters of Paul's letters has been the degree of interpretive competence and effort that Paul expected of his readers in understanding his letters and (in particular) the meaning of his scriptural citations and allusions. In this article, I begin with some brief reflections on 2 Cor 1:13–14 as an indication of Paul's communicative intentions and expectations in the letter and on the kind of exegesis required for theological interpretation that accords with those intentions and expectations. I then examine Paul's citation of Ps 112:9 in 2 Cor 9:9 as a case study in the possibilities for theological interpretation of an exegesis that reads Paul's letters as communications intended for patient, communal, and intertextual interpretation. The focus of my inquiry is the ambiguous reference of the "he" in the scriptural citation and its rhetorical function within 2 Cor 8–9 and the larger context of canonical 2 Corinthians. I conclude that the surface ambiguity of Paul's language functions within an attentive reading community to provoke an enriched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hip between divine and human grace and righteousness, which arises out of the social and intertextual process of resolving the ambiguity. The implications of this reading for theological interpretation of 2 Corinthians include a strengthening of the argument that Paul's description in 2 Cor 5:21 of believers "becom[ing] the righteousness of God" has in view not merely a transformation of status but a transformation of character and conduct.

Continue re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