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하나님이요 사람이 아님이니라": 신적 회개와 창조주-피조물 구분

“For I Am God, Not a Man”: Divine Repentance and the Creator-Creature Distinction

https://doi.org/10.5325/jtheointe.12.2.0149

구약은 자기 백성의 삶에 깊이 관여하는 하나님, 죄인들이 믿음으로 그분에게 돌아올 때 위협적인 심판을 회개할 준비를 하는 하나님을 드러낸다. 또한 하나님의 불변성과 초월성을 드러내며, 하나님은 회개하지 않는다고 강조한다. 구약 가르침의 이러한 요소들을 통합하려는 최근의 시도는 때로는 회개 구절에 대한 오래된 은유적 또는 의인관적 해석을 비판하고, 때로는 하나님이 자신의 구원 계획의 어떤 요소들에 대해서는 마음을 바꾸지만 다른 것들에 대해서는 바꾸지 않는다고 주장한다. 흔히 이것은 철학적 신학의 신과는 대조적으로 이스라엘의 하나님이 세상 역사에 진정으로 관여함을 강조하려는 의도이다. 이 글에서 나는 구약 자체의 창조주-피조물 구분이 성경 본문에서 하나님의 회개와 불변성을 통합하기 위한 더 강력한 출발점을 제공한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접근법은 신적인 회개 구절의 은유적 해석을 재발견하고 명확히 하는 것을 포함하며, 이는 하나님의 개인적인 역사 개입을 뚜렷하게 확인한다.

The Old Testament reveals a God of ardent involvement in the life of his people, a God prepared to repent of threatened judgment when sinful human beings turn back to him in faith. It also reveals the constancy and transcendence of God and emphasizes that God does not repent. Recent efforts to integrate these components of Old Testament teaching are sometimes critical of older metaphorical or anthropopathic readings of the repentance passages and sometimes argue that God changes his mind with regard to some elements of his salvific plan but not with regard to others. Often this is intended to underscore that, over against the divine in philosophical theology, the God of Israel is truly invested in the history of the world. In this article I argue that the Old Testament’s own Creator-creature distinction provides a stronger starting point for integrating the repentance and constancy of God in the biblical text. This approach involves a retrieval and clarification of the metaphorical reading of the divine repentance passages with its distinct confirmation of God’s personal involvement in history.

Continue re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