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doi.org/10.2307/26421401
성경의 통일성에 대해 이야기하는 것이 점점 더 어려워지고 있다. 모더니즘 역사 비판의 영향으로 성경은 서로 다른 목소리들의 불협화음으로 분열된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최근에는 이야기 비평이 성경의 통일성을 회복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제안이 나오기도 한다. 하지만 이야기 비평만으로는 정경의 통일성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 대신, "성경 프로젝트의 아홉 가지 테제"를 따라, 이 에세이는 성경이 교회의 신앙 규칙에 따라 복잡하지만 일관된 극적인 이야기로 이해될 수 있다는 주장을 탐구한다. 만약 그렇다면, 이야기 비평의 실천은 성경 증언의 파악하기 힘든 통일성을 명확히 하는 데 필요하지만, 그 자체로는 충분하지 않다. 이러한 제안은 히브리서, 바울, 마태복음, 요한복음에 묘사된 예수님의 이야기를 통해 예시된다. 이 네 저자에게서 발견되는 이야기 패턴에 주목하면, 예수님의 죽음의 목적과 효과에 대한 그들의 이해에 놀라운 일관성이 있음을 알 수 있다. 구체적으로, 네 저자 모두 십자가에서의 예수님의 죽음을 하나님의 구원 목적에 대한 근본적인 충성의 행위로 이야기한다. 더 나아가, 네 저자 모두에게서 이 충성의 행위는 예수님을 믿고 그를 통해 하나님과 화해하는 모든 사람들의 지속적인 이야기로 형성된 정체성을 위한 규범적인 패러다임을 제공한다.
It has become increasingly difficult to talk about the unity of Scripture. Under the impact of modernist historical criticism, the Bible has seemed to fall apart into a cacophony of disparate voices. More recently, however, it has sometimes been suggested that narrative criticism might help us recover the unity of Scripture. But narrative criticism, taken by itself, cannot solve the problem of canonical unity. Instead, following the lead of the "Nine Theses" of the Scripture Project, this essay explores the claim that Scripture can be understood in light of the church's rule of faith as a complex but coherent dramatic narrative. If so, the practice of narrative criticism is necessary, though not in itself sufficient, to articulate the elusive unity of the biblical witness. This proposal is exemplified through a reading of the story of Jesus as sketched in Hebrews, Paul, Matthew, and John. Attention to the narrative pattern found in these four authors demonstrates a surprising coherence in their understanding of the purpose and effect of Jesus' death. Specifically, all four authors narrate Jesus' death on the cross as an act of radical faithfulness to God's redemptive purpose; further, in each of the four authors, this act of faithfulness provides a normative paradigm for the ongoing narratively shaped identity of all who trust in Jesus and find themselves reconciled to God through hi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