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doi.org/10.5325/jtheointe.14.2.0199
창세기는 정교하면서도 뚜렷하게 맞춰진 두 개의 석조 블록처럼 창조 이야기들을 병치하면서 도발적으로 시작한다. 문서설의 난점은 나중에 드러나며, 오경의 나머지 부분에서 P와 J 및 그들의 유사한 목소리들을 추적하는 세부 사항에 있다.이 매력적이고 답답하며 익숙한 작업을 새롭게 해보고자, 언뜻 보기에 직관에 반하는 제안을 한다. P와 J를 창세기에서 출애굽기로 추적하는 대신, 여러 세대를 건너뛰어 복음서에 나타난 그들의 상호텍스트적 존재를 통해 추적하는 것이다. 이때 예수의 치유에 중점을 두는데, 이는 창조에 대한 '덧댐'으로 기능한다.몇 가지 예측 가능한 관계들이 드러난다. 요한복음은 창세기 1장의 P-텍스트처럼 강력한 말씀(언어)을 중시한다. 반면, 더 현실적인 공관복음서, 그중에서도 가장 현실적인 마가복음은 창세기 2장의 창조 이야기를 따르며, 예수는 만지고 침을 뱉어 치유한다. 이 가닥들이 얼마나 깔끔하게 정렬되는가. P가 J에 대한 관계는 요한이 공관복음서에 대한 관계와 같다.그러나 반전이 나타난다. 마가복음 역시 요한복음이나 창세기 1장의 어떤 구절만큼이나 로고스 중심적인 치유를 기록한다. 반면 요한복음의 살아있는 말씀은 야훼가 진흙으로 아담을 빚어낸 것처럼 진흙으로 치유하는 데 능숙하다. P와 J의 독특한 활력은 충분히 쉽게 추적할 수 있다. 그러나 그들의 흐름은 뫼비우스의 띠처럼 단순하면서도 복잡한 신비로운 전체 속으로 들어가며 꼬이고 뒤엉킨다. 이러한 상호텍스트성에 주목하는 것은 창세기와 복음서 모두에서 차이와 통일성의 역동성을 새롭게 조명한다.
Genesis opens with a provocation as it juxtaposes creation stories fitted neatly, though distinctly, as two blocks of ashlar. The difficulty of the Documentary Hypothesis comes later and lies in the details of tracking the voices of P and J and their cousins through the rest of the Pentateuch. To refresh this fascinating, frustrating, well-worn exercise, I propose something that seems at first counterintuitive: tracking P and J not from Genesis into Exodus but, skipping down the generations, through their intertextual presence in the Gospels with emphasis on Jesus’s healings, which function as patches on creation. Some predictable relationships emerge: the Gospel of John privileges the potent spoken word much as does the P-text of Gen 1; the earthier Synoptics, Mark earthiest of all, follow the creation story of Gen 2 as Jesus heals by touch and spit. How neatly the strands seem to align: P is to J as John is to the Synoptics. But there comes a twist. The Gospel of Mark also recounts healings as logos-centric as any verse in John or Gen 1, while the living Word of John is as skilled in healing by mud as Yahweh is in molding Adam from clay. The distinctive vitalities of P and J can be traced easily enough, but their courses twist and turn as they run into a mysterious whole as simple yet perplexing as a Möbius strip. Attention to these intertextualities freshly illuminates the dynamic of difference and unity in both Genesis and the Gospe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