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doi.org/10.2307/26421328
최근 고대 이스라엘의 법률 모음에 대한 연구는 오경의 이러한 부분들이 서로 어떤 방식으로 통시적으로 관련되는지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러한 종류의 연구는 신명기가 자신을 모세의 연설이라고 주장하는 것의 의미를 조사하는 새로운 길을 열어주고, 오늘날의 해석학적 선택지들 사이에서 흔히 겪는 신앙주의와 회의주의 간의 교착 상태를 해결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이 논문은 신명기가 모세에게 귀속되는 점을 고려하여 방법론적 선택지들을 탐구하고, 신명서는 모세의 정확한 '말'이 아닌 정확한 '목소리'(ipsissima vox)로 이해해야 한다고 제안한다.
Research on ancient Israel's legal corpora has focused in recent years on the way these portions of the Pentateuch relate to each other diachronically. This sort of research opens new avenues for investigating the significance of Deuteronomy's self-attribution as the speeches of Moses and may address the supposed impasse between fideism and skepticism among today's hermeneutical options. This article explores the methodological options in light of the book's attributions to Moses and proposes that Deuteronomy should be understood as the ipsissima vox rather than the ipsissima verba of Mos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