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doi.org/10.1163/15685365-bja10078
이 논문은 고린도전서 11장 17–34절이 성찬 이해의 신학적 토대가 되어 온 전통적 해석을 재검토한다. 현대 논증 분석을 활용해 본문에 사용된 주요 수사 전략을 분석한 결과, 바울이 성찬 서사를 통해 ‘몸’이라는 용어의 올바른 해석을 강조하며, 여기에 이중적 의미를 부여했음이 드러난다. 고린도 교회에서 그리스도의 몸 된 지체들을 대하는 방식은 곧 주님 자신을 대하는 방식과 직결된다. 따라서 은유적으로든 실제적으로든 그리스도의 몸을 분열시키는 자들은 그에 상응하는 결과를 맞게 된다.
Abstract The pericope of 1 Corinthians 11:17–34 has been a cornerstone in the theological understanding of the Eucharist. This study seeks to reevaluate conventional interpretations by concentrating on the primary rhetorical strategies employed within the passage, using contemporary argumentation analysis. It becomes apparent that Paul strategically utilizes the Eucharist narrative to underscore the imperative of correctly interpreting the term “body,” which he imbues with dual significance. The treatment of the members of Christ’s body in Corinth is intrinsically linked to the treatment of the Lord himself. Consequently, those who metaphorically and literally fracture his body will incur commensurate repercuss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