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성경에 계신 그리스도? – 구약 성경을 기독교 성경으로 읽는 도전

Christ in All the Scriptures? The Challenge of Reading the Old Testament as Christian Scripture

https://doi.org/10.2307/26421379

구약으로서 이스라엘 성경을 책임감 있게 읽는 기독교적 문제는 누가복음 24:25-27에 의해 형성된 전통적인 기독교적 접근 방식이 현대 역사비평에 의해 특징적으로 침식되는 것과 관련하여 제기된다. 많은 현대 역사비평의 통찰력이 건전하며, 광범위한 저항이나 무지에도 불구하고 유지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를 뒷받침하는 두 가지 사례 연구는 다음과 같다. (1) 창세기 3:15을 원복음으로 이해하려는 새로운 시도에 대한 검토, 그리고 (2) 마이클 드로스닌의 성경 코드이다. 그러나 우리의 현대적인 "포스트모던" 상황이 제공하는 가능성에 대한 이해는 역사비평이 성경 해석에서 때로는 더 겸손한 역할을 해야 할 수도 있음을 알게 해준다. 성경 텍스트의 많은 재맥락화와 해석자들의 다양한 맥락, 목적, 관점에 대한 인식은 해석 논쟁의 형태를 변화시켜야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앙리 드 뤼박이 설명한 고전적인 근대 이전 기독교적 구약 해석이 이해를 위한 실제적인 자원이 될 수 있다고 제안한다. 마지막으로, 이사야 2장에 대한 간략한 연구는 그리스도의 빛에서 구약에 대한 새로운 접근 방식이 실제로 어떻게 보일 수 있는지 보여준다.

The issue of responsible Christian reading of Israel's Scriptures as the OT is posed in relation to the characteristic modern historical-critical erosion of traditional Christian approaches informed by Luke 24:25–27. It is argued that many of the insights of modern historical criticism are sound and should be retained, despite widespread resistance or ignorance. Two case studies in support of this are (1) an examination of renewed attempts to understand Gen 3:15 as a protevangelium and (2) Michael Drosnin's Bible Code. However, an appreciation of the possibilities afforded by our contemporary "postmodern" situation enables us to see that historical criticism may sometimes need to take a more modest role in biblical interpretation; recognition of the many recontextualizations of the biblical text and the varying contexts, purposes, and perspectives of interpreters should change the shape of the interpretive debate. In this light, it is suggested that classic premodern Christian interpretation of the OT, as expounded by Henri de Lubac, can again become a real resource for understanding. Finally, a brief study of Isa 2 illustrates how a renewed approach to the OT in the light of Christ might look in practice.

Continue re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