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doi.org/10.2307/26421290
이 에세이는 테오도레 드 몹수에스티아가 그의 『열두 예언서 주석』에서 왜 북이스라엘 왕국의 멸망을 산헤립에게 잘못 귀속시키는지 설명하고자 한다. 제2성전 시대에 산헤립에 대한 신학적, 유형론적 해석이 발전하여 그를 전형적인 아시리아 적으로 묘사하게 되었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발전은 산헤립이 북이스라엘 왕국을 포로로 잡아가게 했다는 주석적 전통을 만들어냈다. 이러한 전통은 고대 후기 기독교와 유대교 자료 모두에서 찾아볼 수 있다.
This essay seeks to explain why in his Commentary on the Twelve Prophets Theodore of Mopsuestia incorrectly attributes the Exile of the Northern Kingdom of Israel to Sennacherib. It is argued that theological and typological interpretations of Sennacherib developed in the Second Temple period that resulted in the portrayal of him as the paradigmatic Assyrian enemy. This development created an exegetical tradition that Sennacherib exiled the Northern Kingdom of Israel. This tradition can be found in both Christian and Jewish sources of late antiqu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