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니멀리즘"과 구약성서 신학적 해석학: "다윗 서사"를 시금석으로

"Minimalism" and Old Testament Theological Hermeneutics: The "David Saga" as a Test Case

https://doi.org/10.2307/26421304

최근 구약 학계에서는 구약에 묘사된 이스라엘이 역사 속 고대 이스라엘과는 거의 관계가 없다는, 이른바 최소주의적 입장을 취하는 경향이 점점 강해지고 있다. 특히 다윗 시대의 통일 왕국 존재 여부에 대해 의문이 제기되고 있으며, 종종 부정되기도 한다. 신학적 관심을 가진 구약 독자들은 이러한 흐름과 그 함의에 맞서거나 무관심한 태도를 보이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신학적 해석가들이 구약에 대한 최소주의적 해석과 생산적으로 교류할 수 있지 않을까? 존 반 세터스의 "다윗 왕의 성경적 사가"를 다윗의 삶에 대한 급진적인 수정주의적 해석의 시금석으로 삼아, 이러한 종류의 해석이 해석학적, 신학적 관점에서 갖는 함의를 살펴본다.

In recent OT scholarship, there is a growing tendency to understand the portrayal of Israel in the OT as bearing little relation to the ancient Israel of history—the so-called minimalist stance. In particular, the existence of a united monarchy under David is now questioned and often rejected. Readers of the OT with theological concerns often appear to confront or disengage with these trends and their implications for the study of the OT. But might theological interpreters fruitfully engage with minimalist readings of the OT? Taking John Van Seters's The Biblical Saga of King David as a test case of a radically revisionist reading of the life of David, the implications of a reading of this sort are considered in hermeneutical and theological perspective.

Continue re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