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doi.org/10.2307/26421375
본 논문은 성경을 잘 읽는 데 있어 신앙이 인식론적 전제조건이라는 주장을 제기하며, 성경의 신학적 해석을 회복해야 함을 논증한다. 짧은 서론에 이어, 두 번째 부분에서는 비신학적 해석에 대한 최근 논증들(라이새넨, 폭스, 미크스)을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세 번째 부분에서는 신학적 해석이 방법론이 아니라 실천임을 제시하고, 신학적 해석 실천의 특징 12가지를 제시한다. 마지막 부분에서는 루가복음 7장 18-23절을 해석함으로써 논문에서 주장하는 접근 방식의 예시를 제공한다. 현대 비평의 결과와는 달리, 누가는 낮은 그리스도론을 제시하지 않는다. 이 본문이 불러일으키는 구약 성경의 내적 텍스트, 특히 이사야 35장에 보다 충실히 주목함으로써, 누가의 증언과 예수의 정체성에 대한 교회의 교의적 전통 사이의 신학적 일관성을 더욱 확실히 파악할 수 있다.
This article proposes that faith is the epistemological precondition for reading Scripture well and argues for a recovery of theological exegesis of the Bible. After a short introduction, the second part of the article critically surveys recent arguments for nontheological exegesis (Räisänen, Fox, Meeks). The third part of the article suggests that theological exegesis is not a method but a practice and then programmatically sets forth 12 identifying marks of the practice of theological exegesis. The final section of the article offers an example of the approach advocated here, by giving a reading of Luke 7:18–23. Contrary to the findings of modernist criticism, Luke does not represent a low Christology. By attending more fully to the OT intertexts evoked by this passage, especially Isa 35, we gain a firmer grasp of the theological coherence between Luke's testimony and the church's dogmatic tradition about the identity of Jes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