멜기세덱, 인자, 그리고 종말론적 희년: 11Q멜기세덱과 마가복음의 '죄 사하는 메시아'

Melchizedek, the Son of Man, and Eschatological Jubilee: The Sin-Forgiving Messiahs in 11QMelchizedek and Mark

https://doi.org/10.1177/0142064X231191176

본 논문은 왜 마가복음 2장 10절의 예수가 다니엘 7장 14절에 나오는 인자의 권세(ἐξουσία/שלטן)를 죄를 용서하는 권세로 해석하는지 질문한다. 이 질문에 답하기 위해 쿰란 문서인 11Q멜기세덱(11Q13)을 살펴본다. 11Q멜기세덱은 희년(Jubilee)과 관련된 여러 본문(레 25장, 사 61:1, 단 9:24-27)을 종합하여, 멜기세덱이 희년의 '자유(דרור‎)' 선포를 통해 이스라엘의 죄를 용서하는 존재로 묘사한다. 마가복음에서도 유사한 상호텍스트적 작업이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에 비추어, 본 논문은 마가복음 2장 10절(“인자가 땅에서 죄를 용서하는 권세가 있다 [ἀϕιέναι ἁμαρτίας ἐπὶ τῆς γῆς]”)이 레위기 25장 10절의 희년 법규 언어(“너희는 땅에 용서(자유)를 선포할지니라 [διαβοήσετε ἄϕεσιν ἐπὶ τῆς γῆς]”)를 상기시킨다고 주장한다. 결론적으로, 다니엘 7장 14절의 '권세'에 대한 이러한 해석은 다음과 같은 전제에서 비롯된다. 첫째, 다니엘 7장의 '인자'가 이사야 61장의 '선포하는 메시아'와 동일시되었다. 둘째, 이사야 61장 1절은 메시아가 희년의 자유 선포를 통해 이스라엘의 죄에 대한 종말론적 용서를 집행하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This article asks why Jesus in Mk 2.10 interprets the authority (ἐξουσία/שלטן) of the Son of Man in Dan. 7.14 as the authority to forgive sins. I approach this question by looking at 11QMelchizedek (11Q13). Drawing on a constellation of texts pertaining to jubilee (Lev. 25, Isa. 61.1, Dan. 9.24–27), 11QMelchizedek portrays Melchizedek as forgiving Israel’s sins by his jubilean declaration of ‘liberty (דרור‎)’ (II 6). In light of similar intertextual moves being made in Mark, I suggest that Mk 2.10—‘the Son of Man has authority to forgive sins on the land (ἀϕιέναι ἁμαρτίας ἐπὶ τῆς γῆς)’—invokes the language of the jubilee legislation in Lev. 25.10: ‘you will declare forgiveness on the land (διαβοήσετε ἄϕεσιν ἐπὶ τῆς γῆς).’ I conclude that this interpretation of ‘authority’ in Dan. 7.14 stems from an assumed conflation between the Son of Man of Dan. 7.13–14 with the herald messiah of Isa. 61.1, as well as an interpretation of Isa. 61.1 in which the messiah enacts the eschatological forgiveness of Israel’s sins by his jubilean declaration of liberty.

Continue re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