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세아 4장 1-3절은 에브라임에게 메시지를 각인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온 세상을 고발하며, 이는 에브라임이 자신과 자신이 처한 위험에 대한 사실을 직면하도록 촉구하는 4장 1절-9장 9절의 일련의 권고를 시작한다. 이어서 호세아 9장 10절-13장 16절[14장 1절]은 이스라엘과 야훼의 관계 속 과거와 현재의 현실을 상기시키는 내용들로 구성된다. 그 안에서 11장 1-11절은 진노에 대한 자비의 최종적 승리를 보여주는 독립된 단락이 아니라, 에브라임에게 파멸과 희망 사이에서 선택할 것을 계속해서 촉구하는 11장 1절-12장 1절[2절]의 일부이다.
Hosea 4:1-3 pronounces an indictment on the entire world as a way of getting home a message to Ephraim. It opens a series of biddings in 4:1– 9:9 that seek to get Ephraim to face the facts about itself and about the danger it is in. Hosea 9:10–13:16 [14:1] then comprises a series of reminders of past and present realiti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srael and Yahweh. Within it, 11:1-11 is not a self-contained pericope marking mercy’s final victory over wrath, but part of 11:1–12:1 [2], which continues to urge Ephraim to choose between doom and hop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