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doi.org/10.2307/26421343
이 연구는 바울 서신들의 사회 역사적 맥락에 더 주의 깊게 집중하면, 종교개혁/루터교 전통의 주요 강조점들과 상당히 유사한 바울 신학에 대한 유익한 신학적 탐구로 이어질 수 있다고 주장한다. 바울 서신을 해석하는 종교개혁 전통은 바울 신학의 핵심 주제들을 제대로 파악해왔지만, 역사적 특수성과 사회적 현실주의에 대한 주의가 부족한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세부 사항에 대한 더 나은 이해는 더 풍부한 신학적 패러다임으로 이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이 연구는 갈라디아서 2장 11-21절을 "율법의 행위," "그리스도의 믿음," 그리고 "의"에 특별한 주의를 기울여 검토하여, 어떻게 역사 비평에서 종교개혁/루터교 전통 내의 신학적 해석으로 전환할 수 있는지를 보여준다.
This study argues that a more attentive focus on the sociohistorical context of Paul's letters can lead to a fruitful theological exploration of Paul's theology that approximates fairly closely some of the key emphases of the Reformed/Lutheran tradition. Though the Reformation tradition of exegeting Paul's letters has properly grasped many of the central themes of Paul's theology, it has often lacked attention to historical particularity and social realism. Yet, a better grasp of the particulars can lead to a richer theological paradigm. As an example, this study examines Gal 2:11–21 with specific attention given to "works of law," "faith of Christ," and "righteousness" in order to demonstrate how one might shift from historical criticism to a theological interpretation within the Reformed/Lutheran trad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