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가복음의 종결과 하나님의 신실하심: 마가복음 16장 8절에 대한 묵시적 풀이

The Ending of Mark and the Faithfulness of God: An Apocalyptic Resolution to Mark 16:8

https://doi.org/10.5325/jtheointe.13.1.0036

많은 마가복음 해석자들은 16:8이 복음서의 의도된 끝이라는 데 동의하지만, 그 갑작스러운 멈춤이 문학적으로나 신학적으로 무엇을 의미하는지에 대해서는 거의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는다. 현재 가장 인기 있는 두 가지 해석은 8절에 나오는 여성들의 행동을 어떻게 평가하는지(예: 긍정적이거나 부정적으로)에 대해 크게 의견이 일치하지 않지만, 마가복음의 끝이 제자도에 대해 시사하는 바가 있다는 점에는 동의한다. 즉, 마가복음은 독자에게 특정한 종류의 행동을 요구하는데, 그것은 제자도 안에서 신실한 여인들을 모방하는 것이든, 불순종을 순종으로 되돌리는 것이든 상관없다. 나는 두 가지 해석의 타당성과 신학적 중요성을 논쟁하고 싶지는 않지만, 마가복음 16:1-8에는 제자도에 관한 것과 만나고 그것을 넘어서는 또 다른 흐름이 있다고 주장하려 한다. 이 다른 흐름은 이스라엘 하나님의 계획과 활동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마가복음의 끝은 제자도의 엄청난 실패를 보여주며, 이는 모든 신뢰를 하나님의 신실하심에 두도록 강제한다. 제자들이 회복되었음을 알았던 마가복음의 독자들은 인간의 실패에도 불구하고 교회가 지속될 수 있었던 것은 오직 하나님의 주도적인 활동과 개입 때문임을 알도록 초대받는다.

While many interpreters of Mark would agree that 16:8 is the intended end of the Gospel, there is little agreement on what that sudden stop means literarily, and theologically. The two most popular interpretations at present disagree significantly on how to evaluate the actions of the women in v. 8 (e.g., either positively or negatively), but they do agree that the end of Mark makes a point about discipleship. That is, Mark calls the reader to a certain kind of behavior, whether that be imitating the faithful women in discipleship or undoing their disobedience through obedience. While I do not wish to dispute the plausibility and theological importance of both readings, I will here argue that there is another thread in Mark 16:1–8 that meets, and extends beyond, the one about discipleship. This other thread concerns the plan and activity of the God of Israel. The ending of Mark, on this reading, presents the spectacular failure of discipleship, which forces one to place all trust in the faithfulness of God. Readers of Mark, who knew that the disciples were rehabilitated, are invited to see that the Church continued despite human failure only because of the agency and intervention of God.

Continue re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