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가복음은 βίος인가? - 헬렌 본드(H. K. Bond)의 The First Biography of Jesus에 대한 분석과 평가

본 연구는 공관복음서, 특히 마가복음을 고대 전기로 보는 최근 학계의 두드러진 동향을 비평적으로 분석하고 그 논지의 타당성에 문제를 제기한다. 논의에 또렷한 초점을 부여하고 시의적절함을 확보하기 위해, 연구 대상을 본드의 The First Biography of Jesus: Genre and Meaning in Mark’s Gospel에 국한한다. 본드의 장르 이해와 논리 전개에 미진한 점이 적지 않다는 관찰로 시작해서, 본론의 첫 번째 장은 현대의 장르 이론의 빛 아래에서 본드의 주장을 하나씩 따져 보고, 서양 고전학계의 고대 전기 연구 현황을 근거로 본드의 논지를 이루는 바탕—마가복음은 고대 전기에 속한다—이 견실 하지 않다는 점을 보일 것이다. 본론의 두 번째 장은 현대 종교학에서 정교하게 논의된 비교 방법론, 특히 스미스(Jonathan Z. Smith)의 이론을 적용하여 본드의 논점과 논거, 그리고 논증의 타당성을 비교의 관점에서 비판적으로 평가한다. 그런 다음 마가복음 해석에 관한 본드의 주요 논지를 이루는 지지 논증의 문제점을 분석한다. 결론적으로 본고는 마가복음의 장르 규정 문제를 그리스-로마 시대 문학의 장르 혼합, 특히 역사서, 묵시문학, 전기, 소설, 비극적 요소의 혼합물로 보는 것이 더 나은 길이라고 제안한다.

This study provides a critical analysis of the recent trend in scholarship that defines the Synoptic Gospels, particularly Mark’s Gospel, as a type of ancient biography and questions the validity of that theory. To ensure a clearly defined and timely discussion, the essay is constrained to the interpretation of Mark’s Gospel as a biography, presented by Helen K. Bond in her recent and influential work, The First Biography of Jesus: Genre and Meaning in Mark’s Gospel. Starting with the observation that Bond’s argumentative method lacks the current discussion about literary genre, the first section of this paper will deconstruct her arguments through contemporary genre theory and then demonstrate that the premise of her thesis that Mark’s Gospel is an ancient biography is invalid when taking into account the present state of classics scholarship on ancient biographies. The second part of the essay employs a comparative methodology drawn from contemporary religious studies, focusing specifically on Jonathan Z. Smith’s methodological reflections. Its aim is to critically assess Bond’s thesis, arguments, and their validity from a comparative viewpoint. Moreover, it scrutinizes the problems associated with the supporting arguments, underlying Bond’s interpretation of some of the themes and characters and motifs in Mark. The paper concludes that the problem of Mark’s genre can be better understood as an instance of genre blending in Greco-Roman literature, involving a blend of historical, apocalyptic, biographical, fictional, and tragic elements.

Continue re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