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doi.org/10.5325/jtheointe.18.2.0223
일부 학자들은 마가복음에서 속량 말씀이 제자들을 위한 가르침의 맥락에서 주어진다는 점을 인정하지만, 주석들은 종종 속죄로서의 속량의 가능한 의미에 집중할 뿐, 제자도에 대한 그 함의에 대해서는 거의 언급하지 않는다. 다음 연구는 속량 말씀의 출처와 구원론적 중요성이 마가복음에서 제자들에게 무엇이 요구되는지를 어떻게 알려주는지 고찰한다. 속량 말씀은 예수의 메시아적 정체성을 명확히 하는 것 외에도, 저자가 8-10장에서 모티프들을 의도적으로 괄호로 묶음으로써 제자도의 대가에 대해 말한다. 예수가 행하는 교환처럼, 마가복음에서 제자도는 제자들이 예수께 헌신하는 공동체 안에서 지금부터 실현되기 시작하는 천상의 보화를 얻는 거래로 간주된다.
While some acknowledge that the context in which the ransom logion is given in Mark is one of instruction to the disciples, comments are often devoted to possible meanings of ransom as atonement with little reference to its implications for discipleship. The following study considers how the ransom logion’s sources and salvific import also inform what is required of disciples in Mark’s Gospel. In addition to being a clarification of Jesus’s messianic identity, the ransom logion speaks to the cost of discipleship through the intentional bracketing of motifs by the author in chs. 8–10. Like the exchange that Jesus makes, discipleship in Mark is considered a transaction by which disciples gain heavenly treasure beginning to be realized now in the community devoted to Jes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