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프리아누스의 'De opere et eleemosynis'에 나타난 인물론적 강해

Prosopological Exegesis in Cyprian's "De opere et eleemosynis"

https://doi.org/10.2307/26421416

키프리아누스 카르타고의 논문 "De opere et eleemosynis"(선행과 자선에 관하여)는 자선 행위의 구원적 가치에 대한 초기 기독교 담론의 발전에 중요한 기여를 한다. 논문 전체에서 키프리아누스는 자선 행위가 기증자의 세례 후 죄를 깨끗하게 한다는 주장을 발전시키기 위해 성경의 언어를 활용한다. 이 글은 "De opere et eleemosynis"에서 키프리아누스가 사용하는 "페르소나 해석(prosopological exegesis)"이라는 해석학적 전략을 보여준다. 페르소나 해석은 영감받은 텍스트에서 화자, 즉 πρόσωπα의 정체를 식별하는 문학적, 문법적 해석 방법이다. 이 해석 관행을 통해 키프리아누스는 특정 성경 구절(예: Eleem. 2에 나오는 잠언 16:6과 집회서 3:30)의 "화자"로 성령을 지명하여 키프리아누스의 윤리적 권고를 신성한 말씀에 근거하게 한다. 더욱이 키프리아누스는 성령이 성경을 통해 자선 행위와 자비로운 행위가 세례 후 죄를 경감시킨다는 키프리아누스의 신학적 주장과 자선 활동을 장려하는 키프리아누스의 권면 활동을 모두 뒷받침하는 선언적 발화 행위를 전달하는 것으로 구성한다. 따라서 "De opere et eleemosynis"에서 성령의 말씀은 메시지와 메신저 모두를 권위 있게 만든다.

Cyprian of Carthage's treatise De opere et eleemosynis represents an important contribution to the emerging early Christian discourse about the redemptive value of almsgiving. Throughout the treatise, Cyprian draws on the language of Scripture in order to develop his claim that almsgiving purges the postbaptismal sins of the donor. This article demonstrates Cyprian's use of the hermeneutical strategy known as "prosopological exegesis" in De opere et eleemosynis. Prosopological exegesis is a literary and grammatical method of interpretation that discerns the identity of speakers, or πρóσωπα, in inspired texts. This interpretive practice allows Cyprian to name the Holy Spirit as the "speaker" of certain biblical texts (e.g., Prov 16:6 and Sir 3:30 in Eleem. 2), thus grounding Cyprian's ethical exhortation in divine speech. Moreover, Cyprian frames the Holy Spirit as delivering, through Scripture, a declarative speech act that supports both Cyprian's theological assertion that almsgiving and acts of mercy alleviate postbaptismal sin and Cyprian's paraenetic activity of encouraging eleemosyna. Therefore, the speech of the Holy Spirit in De opere et eleemosynis authorizes both the message and the messenger.

Continue re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