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리그마와 공동체: R. W. L. 모벌리의 불트만 재고에 대한 응답

Kerygma and Community: A Response to R. W. L. Moberly's Revisiting of Bultmann

https://doi.org/10.2307/26373859

2012년 논문에서 R. W. L. Moberly는 해석학적 전제라는 문제를 중심으로 불트만과 아우구스티누스를 대화로 이끌어냈다. 그 논문은 불트만의 "실존적 개방성"에 대한 강조는 긍정했지만, 성경 해석의 주요 전제로서 교회에 대한 그의 명백한 무시를 비판했다. 하지만 Moberly의 논문은 불트만을 잘못 읽었고, 불트만이 교회론에 보이는 무관심 뒤에 숨겨진 더 깊은 논리를 놓치고 있다. 케리그마의 전달자로서 공동체는 공동체가 선포하는 사건 안에 포함된다. 따라서 교회론은 간접적으로 존재하며, 불트만이 요한에 대해 언급했듯이 "이것으로부터 교회 공동체에 대한 관심이 완전히 결여되어 있다고 결론 내릴 수는 없다. 오히려 교회 공동체에 대한 매우 활발한 관심이 있다."

In a 2012 article, R. W. L. Moberly brought Bultmann into conversation with Augustine around the question of hermeneutical presuppositions. The article affirmed Bultmann's emphasis on "existential openness" but criticized his apparent disregard for the church as the primary presupposition for biblical interpretation. Moberly's article misreads Bultmann, however, and misses the deeper logic at work in Bultmann's apparent lack of attention to ecclesiology. The community, as the bearer of the kerygma, is included within the event that it proclaims. Ecclesiology is therefore indirectly present, so that, as Bultmann states regarding John, "one may not conclude from this that interest in the church-community is completely absent. On the contrary, there is a very lively interest in it."

Continue re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