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석 집필에 관하여

On Writing a Commentary

https://doi.org/10.5325/jtheointe.15.2.0333

성경 독자들은 언제나 성경 해석에 참여해 왔다. 성경 해석의 현대적 형태 중 특히 집중된 것은 성경 주석에서 발견된다. 이는 성경 본문의 언어적, 문학적, 사회문화적 맥락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며, 본문을 이해하기 위한 지침을 제시한다. 이러한 관심사들은 고대 유대인 번역본(타르굼, 칠십인역)과 다양한 장르의 성경 해석(페샤림, "다시 쓴 성경")이 보여주듯이, 오랫동안 성경 해석가들의 주요 논의 대상이었다. 이 논문은 고대 유대인 해석이 제기하는 질문들을 바탕으로, 조엘 그린의 신학적 해석 이해와 대화하면서, 성경 주석 집필의 과제를 다룬다.

Readers of Scripture have always engaged in its interpretation. A particularly focused contemporary form of scriptural interpretation is found in biblical commentaries, which provide information about the language and the literary and sociocultural contexts of biblical texts and offer guidance for understanding them. These have long been the concerns of interpreters of biblical texts, as a sampling of ancient Jewish translations (Targums, Septuagint) and various genres of biblical interpretation (pesharim, “rewritten Bible”) show. This essay discusses the task of writing a commentary on Scripture in light of the questions raised by ancient Jewish interpretation and in dialogue with Joel Green’s understanding of theological interpretation.

Continue re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