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체에 대한 독해: 로마서 14:1–15:6에 나타난 권력의 역설

Reading for the Subject: The Paradox of Power in Romans 14:1–15:6

https://doi.org/10.2307/26421349

바르트의 용어로 "주체"를 위해 읽는 것은 성경의 세부 사항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여기서 롬 14:1–15:6은 바울 신학 연구에서 보통 간과되는데, 이는 시험 사례를 제공한다. 1–12절의 하나님의 능력에 대한 주장은 수사적인 술책이 아니다. 그것은 실제로 13–23절의 인간의 힘에 대한 경고와 15:1–6절의 힘에 대한 재정의를 준비한다. 이 구절은 로마 그리스도인들에게 단순히 차이점을 용인하라고 요구하는 것이 아니라, 그들의 유일한 힘은 하나님에게서 나오고 하나님 안에 계속 머문다는 것을 함께("한 입으로," 15:6) 인정하라고 요구한다. 또한 예수 그리스도 안의 새로운 삶이 오만에 대한 유혹을 넘어선 것이 아니라는 경고도 있다. 그것은 하나님께서 인간이 계속 서 있도록 (14:4) 하실 때만 새로운 삶으로 계속되며, 자신의 힘이나 자신의 "반사적인 믿음" (14:22)으로 되는 것이 아니다.

Reading for "the subject," in Barth's terms, requires close attention to the details of Scripture. Here, Rom 14:1–15:6, which is usually neglected in studies of Paul's theology, offers a test case. Claims about God's power in vv. 1–12 are not rhetorical maneuvers; they actually prepare for his warnings about human power in vv. 13–23 and his redefinition of strength in 15:1–6. This passage asks Roman Christians not merely to tolerate differences but to acknowledge together ("with one mouth," 15:6) that their only strength comes from and continues to reside in God. There is also a warning that the new life in Jesus Christ is not beyond the temptation to hubris. It continues as new life only as God causes human beings to continue to stand (14:4) and not of its own power or out of its own "reflexive faith" (14:22).

Continue re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