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과 포도원: 헤르마스의 목자에 나타난 기독론과 성경의 수용

The Servant and the Vineyard: Christology and the Reception of Scripture in the Shepherd of Hermas

https://doi.org/10.5325/jtheointe.16.2.0255

헤르마스의 목자는 가장 널리 유통된 초기 기독교 문서 중 하나였다. 그러나 현대에 와서 이 문서에 대한 평가는 칭찬할 만한 수준과는 거리가 멀며, 많은 이들은 목자가 너무나 모호하고 조악하게 서술되어 이단적인 해석으로 이어지기 쉽다고 본다. 특히 기독론과 악명 높은 “종과 포도원” 비유에 있어서 그러하다. 본 논문은 목자에 대한 이러한 부정적인 평가가 잘못되었으며, 이 특정 비유는 이단적 함의를 피할 뿐만 아니라, 사도들의 설교와 신약성경 저자들에 의해 증명되었듯이, 세상을 구원하기 위해 아버지께서 세상에 보내신 종-메시아로서의 그리스도에 대한 철저히 성경적인 이해를 보여준다고 주장한다. 본 논문은 목자가 구약과 신약성경의 성경적, 해석적 전통에 확고히 뿌리내린 창의적이고 독창적인 비유를 엮어, 독자에게 그리스도 사건의 기본 주제들을 이해할 수 있는 일관된 서사를 제시함을 입증한다.

The Shepherd of Hermas was one of the most widely circulated early Christian texts. Contemporary estimations of the text, however, are far from praiseworthy, and many regard the Shepherd to be so imprecise and poorly written as to lend itself to heterodox interpretation, especially in regard to its Christology and the infamous parable of “The Servant and the Vineyard.” This essay will argue that this negative evaluation of the Shepherd is misguided, and that not only does this specific parable avoid heterodox implications, but that it displays a thoroughly biblical understanding of Christ as the servant-messiah sent into the world by the Father to redeem the world, as witnessed by the apostolic preaching and the authors of the New Testament. This essay will demonstrate that the Shepherd presents the reader with a coherent narrative with which to understand the basic themes of the Christ event by weaving together a creative and original parable rooted firmly in the scriptural and interpretive tradition of both the Old and New Testaments.

Continue re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