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doi.org/10.5325/jtheointe.16.2.0149
신학적 해석은 신학, 교회적 현실, 성경, 그리고 현대 생활이 교차할 수 있는 하나의 매트릭스를 제공한다. 본 논문은 코로나19 시대가 교회가 성찬례의 핵심 교리인 죽음에 대한 승리를 강조해야 하는 때임을 부각한다. 정경적 상상력을 발휘하여, 우리는 코로나19 시대 동안 성찬례에 대한 우리의 신학적 성찰에 죽음에 대한 승리라는 주제를 더욱 깊이 불어넣기 위해 죽음에 대한 승리를 기념하는 두 구약성경 절기—이사야의 종말론적 연회(25:6–8)와 에스더 9장의 부림절—를 활용한다. 이사야 25:6–8은 성찬례가 가리키는 종말론적 연회가 죽음이 소멸되는 때가 될 것임을 강조한다. 부림절은 성찬례가 죽음의 위협이 지나갔음을 축하하고 이산된 자들 사이에 유대감을 형성하는 기회임을 밝혀준다.
Theological interpretation offers a matrix within which theology, ecclesial realities, Scripture, and contemporary life can intersect. This article foregrounds how the era of COVID-19 is an occasion when the church should accentuate a tenet central in Communion: victory over death. As a work of canonical imagination, we draw upon two Old Testament feasts that celebrate victory over death—Isaiah’s eschatological banquet (25:6–8) and Purim in Esth 9—to further infuse our theological reflection on the Eucharist with the theme of victory over death during the times of COVID-19. Isaiah 25:6–8 underscores how the eschatological feast to which Communion points will be an occasion where death is annihilated. Purim illuminates how the Eucharist is an occasion for celebrating the passing of a death sentence and for forging bonds between the displac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