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경 서적의 배열과 구약성서의 신학적 해석

The Ordering of the Books of the Canon and the Theological Interpretation of the Old Testament

https://doi.org/10.5325/jtheointe.13.1.0001

구약성경의 신학적 해석은 이전 세대 신자들이 물려준 성경 정경의 실제 형태, 즉 히브리 및 그리스 정경 전통에서 책들의 순서를 포함한 그 형태에 주목할 것을 요구한다. 이 정경들의 편찬자들은 후대 사용자들을 위한 지침으로 성경 책들을 그들이 적절하다고 판단한 위치에 배치하였다. 이 글은 룻기를 시금석으로 삼아, 서로 다른 신앙 공동체들이 확립한 정경 순서들의 신학적 함의 일부를 밝히고자 한다. 룻기는 그리스 전통에서는 사사기 다음에, 히브리 마소라 전통에서는 잠언 다음에, 그리고 탈무드 전통에서는 시편 앞에 배치된다. 그 책에 할당된 상이한 위치들은 그 내용(룻기 내용)을 보는 대안적 방식들을 시사하며, 고난에 처한 이스라엘 가족에 대한 하나님의 역사에 관한 이 풍부한 서사에는 하나 이상의 중요한 신학적 주제가 작용하고 있음을 독자들에게 주지시킨다.

The theological interpretation of the Old Testament necessitates that attention be given to the actual form of the biblical canon bequeathed by earlier generations of believers, including the order of the books in the Hebrew and Greek canonical traditions. The compilers of these canons placed the biblical books in what they deemed suitable settings as a guide to later users. This article seeks to tease out some of the theological implications of the canonical orders settled upon by different communities of faith, with the book of Ruth used as a test case. Ruth is placed after Judges in the Greek tradition, after Proverbs in the Hebrew Masoretic tradition, and before the Psalter in the Talmudic tradition. The different positions assigned to the book suggest alternative ways of viewing its content and alert readers that more than one significant theological theme is at play in this rich narrative about God’s dealings with an Israelite family in distress.

Continue re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