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doi.org/10.2307/26421324
이 글은 신학적 해석 저널의 이번 호에 실린 세 편의 에세이를 소개한다. 이 에세이들은 교부들의 성경 해석을 우리 시대의 해석과 구별짓는 요소들을 지적하고자 한다. 이 논문들은 우리 시대의 성경 연구와 대조적으로, 교부들의 성경 해석이 낯설고 불쾌하게 느껴질 수 있지만, 동시에 자극적이고 모험적이며 교회의 삶에 유익할 수 있다는 점을 보여준다. 교부들의 성경 해석가들은 성경이 삼위일체이신 살아 계신 하나님의 음성이라는 것을 (입증하려 하지 않고) 당연하게 여긴다. 따라서 성경을 읽는 것은 믿음과 순종의 행위이며, 거의 성례적인 행위와 같다. 교부들의 성경 해석은 독자를 하나님 사랑과 이웃 사랑 안에서 형성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따라서 성경을 읽는 것은 우리가 결코 졸업할 수 없는 학교인데, 이 세상에서 하나님 사랑과 이웃 사랑은 항상 불완전하게 실천되기 때문이다. 교부들의 성경 해석의 권위 있는 맥락은 교회적이다. 그것은 (현대 성경 해석처럼) 학문적이지도 않고, (대중적인 미국 기독교의 성경 해석처럼) 개인주의적이지도 않다.
This article introduces the following three essays in this volume of the Journal of Theological Interpretation, which seek to point out the elements that make patristic exegesis different from our own. The articles illustrate how, in contrast to our own biblical studies, patristic exegesis can seem foreign and off-putting but at the same time stimulating, adventurous, and useful to the life of the church. Patristic exegetes assume (without making a case for it) that Holy Scripture is the voice of the Triune Living God. Reading Scripture is therefore an act of faith and obedience, almost even a sacramental act. Patristic exegesis of Scripture holds as its goal the formation of its reader in the love of God and the love of neighbor. Reading Scripture is therefore a school from which we never graduate, because in this world love of God and love of neighbor are always imperfectly practiced. The authoritative context for the exegesis of the Fathers is ecclesial; it is neither academic (as is modern exegesis) nor individualistic (as is much of popular American Christianity's biblical interpret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