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doi.org/10.1163/15685330-bja10177
이 논문은 전통적으로 전도서가 인문주의–회의주의–염세주의라는 3단계 중 마지막, 즉 염세주의로 분류되어 온 견해를 재검토한다. 최근 연구들은 인문주의 대신 낙관주의를 제시하며, 전도서를 낙관과 염세라는 양극단 중 하나로 해석하는 경향이 있다. 저자는 이에 대해 ‘리얼리즘(realism)’이라는 제3의 길을 제안한다.논문은 먼저 ‘리얼리스트’의 정의와 그것이 전도서 저자 코헬렛(Qoheleth) 이해에 미치는 함의를 논의한다. 이어 코헬렛의 실용적 조언, 경험에서 출발하는 서술, 삶의 선택지 사이의 지속적 균형을 보여주는 사례를 검토한다. 특히 세 가지 지표를 들어 그의 리얼리즘을 입증한다. ① 책 전체에서 세 편의 주요 시(詩)를 배치하고 활용하는 방식, ② ‘지식’을 둘러싼 표현 선택, ③ 추상적 성찰을 구체 현실에 뿌리내리게 하는 예시적 이야기 사용.
Abstract On a three stage “ladder,” from humanism to scepticism to pessimism, Ecclesiastes has traditionally been regarded as the last of those three. Many recent studies, however, have challenged this assessment, replacing humanism with optimism and presenting a stark choice between the two extremes of optimism and pessimism. In this paper it is argued that a middle way can be found, using the language of “realism.” How to define “a realist” and what this means for understanding Qoheleth is explored. Examples of Qoheleth’s pragmatic advice, experiential starting point, and continual balancing of life’s options are aired, and key indicators of his realism are found. These are demonstrated first, in his use and placement of the three major poems in the book, second, in his choice of phrases around “knowledge,” and third, in his use of exemplifying stories that ground his more abstract musings in a concrete rea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