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doi.org/10.5325/jtheointe.12.2.0217
본고는 제4 복음서에서 신적 자존성이 어떻게 표현되는지 고찰한다. 특히 이는 '나는 ~이다' (에고 에이미) 말씀들과 긴밀히 얽혀 있는 '신적 명칭' 기독론을 통해 발전된다. 이 말씀들은 일반적으로 출 3:14보다는 사 41:4과 43:10의 진술들과 관련하여 이해되지만, 에고 에이미(ἐγώ εἰμι) 형태는 모세에게 계시된 신적 명칭의 시간적 의미에 대한 성찰과 친화성을 가지며, 이는 다른 유대 전통에서도 입증된다. 이러한 인식은 '나는 ~이다' 말씀들이 예수를 이스라엘의 하나님과 동일시하면서도, 시간을 초월하는 하나님이 시간 안에서 육화되고 특정화된다는 것의 의미, 곧 성육신의 본질적인 신학적 '문제'에 대한 성찰로 의도될 가능성을 연다. 이 말씀들은 시간과 장소 안에 위치하며 그 실체가 이들에 의해 영향을 받는 인간으로서의 예수의 정체성이 하나님의 본질적 존재의 초월적 실재에 온전히 참여함을 나타낸다. 시간을 초월하며 그 존재가 전적으로 자존하는 하나님은 시간적 형식을 취함으로써 그것을 자신의 존재에 연합시킨다. 저자는 본문에서 가시적으로 드러나며 그의 구원 개념과 연결되는 방식으로 이러한 분명한 역설을 활용한다. 인간의 우발성(또는 유한성, 필멸성)의 종말적 조건 없이 죽음을 신적 생명에 연합시킬 수 있는 능력이야말로 예수가 자신을 영접하는 모든 이에게 생명의 근원이 될 수 있도록 보장한다.
This article will examine the representation of divine aseity in the Fourth Gospel, particularly as this is developed through a “divine name” Christology that is intertwined with the I Am sayings. While these are generally understood with reference to the statements of Isa 41:4 and 43:10, rather than Exod 3:14, the ἐγώ εἰμι form has an affinity with reflections on the temporal significance of the divine name disclosed to Moses that are elsewhere attested in Jewish tradition. This recognition opens the possibility that the I Am sayings, even as they identify Jesus with the God of Israel, are intended as reflections on the properly theological “problem” of the incarnation, on what it means for a God who transcends time to be enfleshed and particularized within it. The sayings render the identity of Jesus, as a human being located within time and place and whose substance is affected by these, as participating fully in the transcendent reality of God’s own being. By taking temporal form, the God who transcends time, and whose existence is entirely self-subsistent, unites it to his own being. The author plays upon the apparent paradox in ways that are visible in the text and that are linked to his conceptions of salvation. It is precisely the capacity to unite death to the divine life without the terminal conditions of human contingency that ensures that Jesus can be the source of life for all who receive hi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