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doi.org/10.2307/26421294
최근 몇 년 동안, 초기 교회의 신앙 규칙을 성경을 포괄적인 이야기로 읽는 증거로 제시하는 것이 일반화되었다. 특히 이레나이우스의 신앙 규칙에 대한 기록, 그중에서도 사도 설교 증명(Demonstration of the Apostolic Preaching)에 나오는 신앙 규칙의 반복이 중요하게 여겨진다. 이레나이우스의 증명에서 창조주 하나님에 대한 진술과 그리스도의 생애의 구원적 사건 사이의 간극이 하나님의 이스라엘과의 관계 이야기로 채워졌다고 주장되어 왔다. 이 논문은 이레나이우스의 신앙 규칙에 대한 이해를 재검토하고, 그러한 설명들이 잘못되었으며 증명에 대한 오독을 포함한다고 주장한다. 이레나이우스는 창조에서 완성에 이르는 메타 내러티브를 제시하지 않는다. 오히려 그는 두 부분으로 구성된 구약 성경을 활용하여, 이 두 부분이 어떻게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의 구원을 예시하고 예언하는지를 보여준다. 이 논문은 이야기와 신앙 규칙 사이의 관계, 그리고 이스라엘이 기독교 신앙 안에서 어떻게 이해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재고찰로 결론짓는다.
In recent years, it has become common to point to the early church's Rule of Faith as evidence for the reading of Scripture as an overarching story. Appeal is typically made to Irenaeus's accounts of the Rule of Faith with particular importance being attached to the rehearsal of the Rule in the Demonstration of the Apostolic Preaching. It has been argued that in Irenaeus's Demonstration the lacuna between the statement about God the Creator and the salvific events of the life of Christ are filled out with the story of God's dealings with Israel. This article reexamines Irenaeus's understanding of the Rule of Faith and argues that accounts of this sort are mistaken and involve a misreading of the Demonstration. Irenaeus does not present a metanarrative that stretches from creation to consummation; rather, he works with a two-part OT canon and shows how both parts prefigure and predict salvation in Jesus Christ. The article concludes with a reconsider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narrative and the Rule of Faith and how Israel is to be figured into Christian fait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