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doi.org/10.2307/26421433
계시는 흔히 하나님이 하는 일로, 해석은 그에 대한 인간의 반응으로 여겨진다. 해석은 계시를 새로운 상황과 관련하여 현실화하거나 적절하게 만드는 과정이다. 하지만 만약 계시가 그리스도의 자기 증명으로 이해된다면, 계시 자체가 해석 속에 현존하며 활동하는 것이라면 어떨까? 이 논문은 요한복음과의 대화를 통해 예수 그리스도의 예언직(munus propheticum Jesu Christi)을 활용하여 계시와 해석에 대한 객관/주관 관계의 일반적인 이해를 깨뜨린다. 이는 현재 시제로 이해되는 계시, 즉 그리스도께서 말씀하시고 행하시는 것에 대한 인간의 경청과 응답으로서의 해석에 대한 설명을 발전시키기 위함이다. 이러한 강조는 기록된 말씀 안에서 그리스도의 예언적 현존과 활동이 나타난다는 점을 인정함으로써 성경의 신학적 해석을 강화한다. 따라서 해석은 성령의 능력으로 예언적이고 사도적인 글에서 자신을 말씀하시는 부활하신 분의 인간화하는 현존과 동시대성에 투명해지는 과정이다.
Revelation is often assumed to be what God does, and interpretation what persons do in response. The latter is a matter of making the former real or relevant in relation to a new situation. But what if revelation, understood as Christ's self-attestation, were present to and active in our interpretation of itself? This article deploys the munus propheticum Jesu Christi in conversation with John's Gospel so as to disrupt the usual construal of the objective/subjective relationship as regards revelation and interpretation. This is undertaken in order to advance an account of revelation in the present tense and thus of interpretation as being a human hearing of and correspondence to what Christ says and does. Such an emphasis strengthens the theological interpretation of Scripture by yielding to the written Word as the locus of Christ's prophetic presence and activity. Interpretation is thus a matter of becoming transparent to the humanizing presence and contemporaneity of the risen One who speaks himself by the power of the Spirit in the prophetic and apostolic writin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