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doi.org/10.5325/jtheointe.15.1.0079
신학 윤리학자들 사이에서 도덕적 형성에 대한 새로운 관심은 인격 발달에서 인간 행위성(human agency)에 대한 지나친 강조라는 주장에 우려하는 이들로부터 강한 비판을 야기한다. 그러한 우려들을 가볍게 간과할 수는 없으나, 해결책은 인간 행위성을 더 큰 신학적 틀 안에 위치시키는 것이다. 존 웹스터가 제안하듯이, 신학 윤리학은 '인간 본성, 기원, 운명의 드라마'와 자아 및 행위의 도덕적 '장(場)' 또는 '공간' 안에서 인간 주체들의 '도덕적 인류학'을 포함하는 '도덕적 존재론'을 제시함으로써 자아와 그 행위성에 대해 논의를 시작해야 한다.요한 윤리에 대한 최근 연구들을 활용하여, 필자는 요한일서 3:1-3이 바로 그러한 도덕적 존재론에 대한 프로그램적 서술을 제공한다고 주장한다. 이어서 필자는 이 존재론에 비추어 서신서의 모방(imitation)에 대한 설명을 고찰한다. 토마스주의의 제2인칭 덕 윤리를 활용하여, 필자는 요한에게 있어 모방은 신자들이 예수님이 순결하신 것처럼 스스로를 순결하게 하려고 적극적으로 노력하는(요한일서 3:3) 도덕적 형성의 제2인칭 실천으로 기능한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신학적 해석은 요한 윤리에 대한 최근의 재조명에 지지를 더하며, 그러한 윤리가 도덕적 형성에 대한 현대적 논의에 중요한 기여를 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e renewed interest in moral formation among theological ethicists has elicited strong critiques from those concerned with an alleged overemphasis on human agency in character development. While such concerns cannot be brushed aside lightly, the solution is to situate human agency within a larger theological frame. As John Webster suggests, theological ethics should begin talking about the self and its agency by offering a “moral ontology” that includes a “moral anthropology” of human agents within the “drama of human nature, origin, and destiny” and the moral “field” or “space” of selfhood and action. Drawing on recent studies of Johannine ethics, I argue that 1 John 3:1–3 provides a programmatic description of just such a moral ontology. I then consider the epistle’s account of imitation in light of this ontology. Drawing on a second-person Thomistic virtue ethic, I argue that, for John, imitation serves as a second-person practice of moral formation whereby believers actively seek to purify themselves as Jesus is pure (1 John 3:3). Such theological interpretation adds support to the recent recovery of Johannine ethics and suggests that such an ethic may make serious contributions to contemporary discussions of moral form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