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행 이론, 이중 저작, 및 정경 해석학: '충만 의미' 이해하기

Speech Act Theory, Dual Authorship, and Canonical Hermeneutics: Making Sense of "Sensus Plenior"

https://doi.org/10.2307/26421291

성경의 신적 저작권은 역사적으로, 특히 근대 및 포스트모던 시대에 걸쳐 많은 논쟁의 대상이 되어 왔다. 그러한 확신을 계속해서 지닌 사람들은 그 해석학적 함의와 씨름해 왔다. 저자 담론 해석의 형태를 사용하는 해석학적 실재론자들은 성경의 신적 저작권에 대한 그들의 전제가 중요한 해석학적 과제를 제기한다는 것을 깨달았다. 특히, 신적 저자가 텍스트의 인간 저자가 의도한 것과는 다른 것을 전달하고자 의도할 수 있다고 흔히 믿어진다. 이러한 믿음은 많은 사람들이 소위 풍성한 의미(sensus plenior) 해석학을 사용하게 만들었고, 이 해석학은 해석학적 실재론자와 비실재론자 모두로부터 비판을 받아왔다. 최근 몇 년 동안 성경을 신적 소통으로 이해하는 데 대한 관심이 새롭게 일고 있다. 신학적 해석학에 관여하는 사람들은 그들의 방법론을 개발하고 옹호하기 위해 광범위한 분야의 발전을 활용해 왔다. 소통 이론 및 화용론 분야에서, 발화 행위 이론은 소통의 해부학, 특히 저자의 의도에 대한 통찰력 있는 분석을 제공하는 것으로 제시되었다. 이 논문의 목적은 발화 행위 이론이 이중 저작권 해석학과 특히 풍성한 의미 접근 방식과 관련된 문제점을 어떻게 강조하는지 보여주는 것이다. 동시에 발화 행위 이론은 해석적 목표를 명확히 하고 정경적 및 정경 내적 수준 모두에서 성경의 신적 저작권에 대한 더 큰 이해를 가능하게 하는 귀중한 도구임을 보여준다.

The divine authorship of Scripture has been a much-debated topic throughout history, particularly in the modern and postmodern eras. Those who continue to hold to such a conviction have often wrestled with its hermeneutical implications. Hermeneutic realists who employ forms of authorial discourse interpretation have realized that their presuppositions regarding the divine authorship of Scripture pose significant hermeneutical challenges. In particular, it is often believed that the divine author may intend to communicate something different from what the human author of the text intended. This belief has led many to employ what became known as a sensus plenior hermeneutic, a hermeneutic that has generated criticism from both hermeneutic realists and non-realists alike. Recent years have witnessed renewed interest in understanding Scripture as divine communication. Those involved in theological hermeneutics have drawn upon advances in a wide range of disciplines in order to develop and defend their methodologies. From the fields of communication theory and pragmatics, speech act theory has been proffered by some as providing an insightful analysis of the anatomy of communication and, in particular, authorial intention. The aim of this paper is to demonstrate how speech act theory highlights the problems related to a dual-authorship hermeneutic and with sensus plenior approaches in particular. At the same time, speech act theory is shown to be a valuable tool that can clarify interpretive goals and enable a greater appreciation of the divine authorship of Scripture at both canonical and intracanonical levels.

Continue re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