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doi.org/10.2307/26421288
"헬레니즘화 논제"에 따르면, 아우구스티누스와 다른 고전 시대 인물들은 다양한 그리스 철학적 원칙들을 비판 없이 수용함으로써 계시의 서사적 특수성을 크게 훼손한 신학자들이었다. 이 해석적 가설을 설명한 후, 본 연구는 아우구스티누스와 그의 저작 전반에 걸쳐 나타나는 출애굽기 3장을 핵심 텍스트로 삼아 이 가설의 타당성을 검증한다. 아우구스티누스가 이 구절에서 얻어내는 교리적 함의를 분석한 결과, 이 가설은 타당하지 않음을 보여준다. 출애굽기 3장은 교부 철학적 존재론의 핵심 텍스트일 것이며, 본 연구는 이 구절에 대한 아우구스티누스의 모든 언급을 분석한다. 실제로 아우구스티누스는 출애굽기 3장을 부정신학, 신적 초월성 및 단순성, 그리고 서사 신학에 대한 지지로 해석한다. "헬레니즘화 논제"와는 반대로, 아우구스티누스의 출애굽기 3장 해석은 많은 현대 비평 학자들의 해석과 매우 유사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Hellenization thesis," Augustine and other classical figures were theologians who largely compromised the narratival particularity of revelation by uncritically embracing various Greek philosophical tenets. After describing this interpretive hypothesis, I test its validity by focusing on one figure, Augustine, and one key text, Exod 3, as it appears throughout his corpus. Investigation shows this hypothesis inadequate to account for the doctrinal implications he gleans from Exod 3, perhaps the key text for patristic theological ontology, by analyzing all his references to this passage. Indeed, Augustine interprets Exod 3 as an endorsement of apophatic theology, divine transcendence and simplicity, and narrative theology. Contrary to the "Hellenization thesis," Augustine's exegesis of Exod 3 might be very similar to that of many modern critical schola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