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님의 세계에서의 노동: 안식일 계명의 수용 및 신학

Work in God’s World: Reception and Theology of the Sabbath Commandment

https://doi.org/10.5325/jtheointe.15.1.0157

이 에세이는 십계명 안식일 계명이 노동의 신학적 이해에 미치는 함의를, 그것이 다양한 유대교 및 기독교적 맥락에서 수용된 방식을 통해 부분적으로 탐구한다. 기독교 텍스트에서 주일 휴식이 십계명으로 정당화되는 모든 경우, 이는 해당 계명의 수용에 해당함을 주장한다. 나아가, 텍스트의 주요 요소들은 창조 전체와 인간 존재를 향한 하나님의 목적이 모든 인간의 노동에 우선한다는 의미를 전달함을 주장한다.계명 자체는 노동 주간이 안식일에 이르러 절정에 달하며, 이때 하나님이 제공하는 안식이 누려지고 오직 하나님의 일만 행해질 수 있음을 함의한다. 신명기에서 제시된 동기는 모든 노예의 해방과 현대 경제에서의 소외된 노동의 종식을 궁극적으로 함의한다. 출애굽기에서 제시된 동기는 인간의 경제적 기획 전체가 창조의 향유와 그 창조주에 대한 숭배에 종속되어야 함을 요구한다. 결론은 이러한 해석이 해당 계명에 대한 일부 전통적인 기독교적 해석, 특히 영적 해석과 종말론적 해석의 타당성을 지지함을 주장한다.

The essay explores the implications of the Sabbath commandment in the Decalogue for a theological understanding of work, partly via its reception in a variety of Jewish and Christian contexts; it is argued that wherever in Christian texts Sunday rest is justified by the Decalogue, we are dealing with the reception of the commandment. It is further argued that the main elements of the texts convey the sense that God’s purposes for creation as a whole and for human beings take priority over all human work. The commandment itself implies that the working week is a preparation for its culmination in the Sabbath when the rest offered by God is enjoyed, and only God’s work may be done. The motivation in Deuteronomy implies ultimately the liberation of all slaves, and the end of alienated labor in the modern economy. The motivation in Exodus demands the subordination of the human economic project as a whole to the enjoyment of creation and the adoration of its creator. The conclusion argues that this interpretation supports the validity of some traditional Christian interpretations of the commandment, specifically the spiritual and the eschatological interpretations.

Continue re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