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님의 정치: 사도행전 4-5장에서의 그리스도인들의 제국 대면

The Politics of God: Christian Encounters with Empire in Acts 4–5

https://doi.org/10.5325/jtheointe.17.2.0201

본고에서 필자는 누가의 정치적 입장을 탐구하는 데 포함되어야 하지만 흔히 간과되는 사도행전 서사의 일부, 즉 사도행전 4-5장 이야기에 주목한다. 기존 연구들은 일반적으로 빌라도와 헤롯 앞에서의 예수의 재판, 디아스포라(빌립보, 데살로니가, 아테네, 고린도, 에베소)에서 로마 관리들과의 기독교인의 만남, 또는 유대에서 글라우디오 루시아스, 총독들, 아그립바 2세 왕 앞에서의 바울의 재판에 초점을 맞춘다. 사도행전의 이 초기 장들을 피상적으로만 다루는 연구는 거의 없다.이 공백은 표면적으로는 합리적이다. 결국 기독교가 예루살렘 당국과 만난 것이 로마 정치 당국과 만난 것과 무슨 관련이 있단 말인가? 그러나 이 질문에 대한 역사적으로 심층적인 조사는 훨씬 더 복잡한 양상을 보여준다. 헤롯 대왕 시대부터 유대 전쟁 발발까지, 대제사장들은 로마 사절, 총독, 헤롯 왕들에 의해 임명되었으며, 유대인들에게 제국 권력을 중재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따라서 그들은 부분적으로 로마 국가의 대표 역할을 했다.그러므로 사도행전 4-5장 이야기는 로마가 임명한 제사장 귀족들과의 기독교의 반복된 충돌을 묘사하기 때문에 누가의 신학적 정치학에 대한 조사에 포함되어야 할 중요한 증거를 구성한다. 결국 필자는 이 이야기들이 포함될 때 누가의 신학적 정치학의 비판적 중요성이 현저히 증폭되며, 누가의 정치적 관점의 더 넓은 신학적 성격이 더 명확하게 드러난다고 주장한다.

In this essay, I draw attention to part of the Acts narrative that should be included in an investigation of Luke’s political stance but often gets left out: the narratives of Acts 4–5. Studies typically focus on Jesus’s trial before Pilate and Herod; Christian encounters with Roman officials in the diaspora (Philippi, Thessalonica, Athens, Corinth, and Ephesus); or Paul’s trials before Claudius Lysias, procurators, and King Agrippa II in Judea. Few give more than passing glances at these early chapters in Acts. The lacuna is, prima facie, reasonable: What, after all, does Christianity’s encounter with Jerusalem authorities have to do with Christianity’s encounter with Roman political authority? A historically textured investigation into the question, however, yields a much more complicated picture. From the time of Herod the Great till the outbreak of the Jewish war, high priests were appointed by Roman legates, prefects, and Herodian kings, and they played an important role in mediating imperial authority to the Jewish people. They thus served as representatives, in part, of the Roman state. The narratives of Acts 4–5 therefore constitute important evidence that should be included in an investigation into Luke’s theological politics because they describe Christianity’s repeated collision with the Roman-appointed priestly aristocracy. In the end, I argue that when these narratives are included, the critical volume of Luke’s theological politics becomes amplified appreciably, and the wider theological character of Luke’s political perspective comes into greater focus.

Continue re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