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doi.org/10.2307/26421331
이 논문은 창세기 초반부의 본질과 기능을 탐구하는데, 특히 창세기 내 정경적 위치에서 "하나님의 형상"이라는 언어가 가지는 해석학적 기능에 대한 집중적인 사례 연구를 통해 이루어진다. 이 논문은 "하나님의 형상"이라는 언어를, 창세기가 창세기 너머, 더 나아가 구약성경 너머로 어떻게 발전하는지를 살펴봄으로써 더욱 명확하게 정의될 수 있는, 비교적 미결정적인 자리표시자(placeholder)로서 사용한다는 정경 지향적 주장을 펼친다. 논의는 먼저 하나님의 형상을 읽는 해석학적 틀을 살펴보고, 둘째로 그 언어가 창세기 1-11장에서 정경적으로 어떻게 기능하는지를 분석한다. 세 번째 섹션에서는 창세기 1-11장의 다른 실질적인 문제들을 간략하게 탐구하는데, 이러한 문제들은 정경적 관점에서 가장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explores the nature and function of the opening chapters of Genesis by way of a focused case study concerning the hermeneutical function of "image of God" language in its canonical setting in Genesis. It pursues a canonically oriented argument that the book of Genesis uses the language of "the image of God" as a relatively under-determined place-holder for something that can only be more clearly defined by seeing how the canonical narrative develops, beyond Genesis, and indeed beyond the OT. The discussion will look first at hermeneutical frameworks for reading the image of God and second at how the language functions canonically as a part of Gen 1–11. A third section explores briefly other substantive issues in Gen 1–11 that might best be understood in this canonical perspecti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