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문장에 담긴 구원: 마가복음 15:39를 통해 본 마가적 구원론

Salvation in a Sentence: Mark 15:39 as Markan Soteriology

https://doi.org/10.2307/26421435

마가복음 15장 39절은 마가의 기독론에 대한 이해에 기여하는 바가 크기 때문에 자주 탐구되어 왔다. 하지만, 이 구절은 마가의 구원론에 대한 간결한 표현도 제공한다. 즉, 마가복음 15장 39절은 마가에게 구원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보여준다. 구체적으로, 이 구절은 마가에게 십자가가 종말론적 시각, 인간과 신이라는 적대적인 영역 사이의 화해, 그리고 이스라엘의 축복이 이방인에게로 확장됨을 제공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따라서 예수의 죽음이 구원적이라는 의미는 이러한 범주에 의해 요약된다(하지만 완전히 소진되지는 않는다). 마가는 인간이 자신과 하나님에 대한 이해에 있어 맹인이라는 특징을 가진 인간학을 가정한다. 이에 상응하여, 종말론적 시각은 예수의 죽음의 순간에 그를 하나님의 아들이라고 "보는" 백부장에게 제공된다. 마찬가지로, 하나님과 인간은 복음서 전체에서 소원한 관계로 제시되지만, 예수의 죽음의 순간에 "이 사람"은 "하나님의 아들"로 선언되며, 십자가에서 하나님과 인간이 더 이상 적대적인 영역이 아니라 동일한 영역으로 함께 모아졌음을 보여준다. 마지막으로, 이 중요한 순간이 예수 "맞은편에 서 있는" 백부장에게 제공된다는 사실은 중요하다. 왜냐하면 그는 이스라엘의 유산에 대한 외부인이자 하나님의 백성에 대한 적이기 때문이다. 그의 존재는 이스라엘의 축복이 이제 이방인에게로 확장되었음을 나타낸다. 전통적인 범주에서, 우리는 마가복음 15장 39절이 예수의 죽음이 맹인에게 계시를 제공하고, 소원한 자에게 화해를 제공하고, 외부인에게 구원을 제공하기 때문에 구원적이라는 것을 보여준다고 말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이 구절은 십자가의 구원적 의미에 대한 마가의 근본적인 이해를 드러낸다.

Mark 15:39 has often been mined for its contribution to our understanding of Mark's Christology. Additionally, however, it offers us a compact expression of Mark's soteriology as well; that is, Mark 15:39 demonstrates what salvation means for Mark. Specifically, it shows that for Mark the cross offers eschatological sight, rapprochement between the hostile spheres of humanity and divinity, and the extension of Israel's blessings to the Gentiles. What it means for Jesus' death to be salvific is thus summarized (although not exhausted) by these categories. Mark assumes an anthropology in which humanity is characterized by blindness concerning its understanding of itself and God. Correspondingly, eschatological sight is offered to the centurion who "sees" at the moment of Jesus' death, declaring him to be God's Son. Likewise, God and humanity are presented as estranged throughout the Gospel but at the moment of Jesus' death "this man" is declared to be "God's Son," demonstrating that at the cross God and humanity are no longer hostile spheres but brought together in the same realm. Finally, the fact that this crucial moment is offered to a centurion "who stands opposite" Jesus is significant, for he is an outsider to Israel's heritage and an enemy to God's people. His presence indicates that Israel's blessings are now extended to the Gentiles. In traditional categories, we can say that Mark 15:39 shows that the death of Jesus is salvific because it offers revelation to the blind, reconciliation to the estranged, and redemption to the outsider. In this way it reveals Mark's underlying understanding of the saving significance of the cross.

Continue re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