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의적 주해」에 대한 옹호: 삼위일체 신학 및 제4복음서를 참조한 한 제안

In Defense of “Doctrinal Exegesis”: A Proposal, with Reference to Trinitarian Theology and the Fourth Gospel

https://doi.org/10.5325/jtheointe.14.1.0020

"신학적 해석"에 대한 많은 정의와 설명은 종종 "신학적"이라는 말 안의 "신학"을 명시하지 않는다. "신학"에 대한 일반화된 이해는 더 견고한 신앙고백적, 교리적 또는 교도권적 헌신을 종종 가리고, 이는 성경에 대한 신학적 해석이 어떤 특정 교회나 전통적 충성심도 가리도록 이끈다. 이 글은 "교리"가 특정 교회 및 신학적 전통과 위치를 지칭하는 것으로 이해되는 "교리적 주해"에 주목하는 것이 신학적 목적을 염두에 두고 성경을 읽는 행위를 재집중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제안한다. 그 목표를 염두에 두고, 이 글은 위르겐 몰트만과 리처드 보컴이 요한복음에 참여한 것, 그리고 토마스 아퀴나스가 같은 본문에 주해를 단 것을 통해, "사회적 삼위일체론적" 및 "고전적" 관점에서 삼위일체 교리를 검토한다. 그리고 교리적 또는 교의적 위치(loci)와 그들의 저명한 해석자들에 대해 생각하는 것이 더 집중된 신학적 성경 주해자가 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결론짓는다.

Many definitions and descriptions of “theological interpretation” often leave the “theology” in “theological” unspecified. A kind of generalized understanding of “theology” often eclipses more robustly confessional, doctrinal, or magisterial commitments, leading to theological interpretations of the Bible that occlude any particular ecclesial or traditional allegiance. This article proposes that attending to “doctrinal exegesis”—with “doctrine” being understood as a reference to specific ecclesial and theological traditions and loci—can help refocus the enterprise of reading Scripture with theological ends in view. With that goal in mind, the article examines the doctrine of the Trinity in “social Trinitarian” and “classical” perspectives, via Jürgen Moltmann and Richard Bauckham’s engagement with the Fourth Gospel and Thomas Aquinas’s commentary on the same text respectively, and concludes that thinking about doctrinal or dogmatic loci and their prominent interpreters may help one become a more focused theological exegete.

Continue re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