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doi.org/10.2307/26421329
신학적 해석은 성경 텍스트 해석이 기독교 신학과 상호 작용하는 방식을 설명하고자 노력한다. 이러한 성경 해석 접근 방식은 신학을 이해의 장애물이 아닌 "명확화제"(Reno¹)로 본다. 이는 교회와 신앙적 헌신의 신학적 전통을 주석적 관행과 함께 포용한다. 본 논문은 연관성 이론의 관점에서 신학적 해석을 탐구하며, 특히 메타표상, 즉 "외부 물리 세계의 상태뿐만 아니라 다른 표상, 그리고 더 나아가 여러 복잡성 수준까지의 표상을 나타내는 능력"(Carston²)이라는 개념에 주목한다. 모든 의사소통에서 메타표상은 우리가 정신 상태를 반영하고 신념을 귀속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실제로, 신념을 가지는 것은 의사소통 내에서의 이해에 필수적이 된다. 본 논문은 신학적 해석이 인간 마음의 일반적인 인지 구조와 일치하는 성경 해석 접근 방식이라고 주장한다.
Theological interpretation endeavors to account for the way interpretation of the biblical text interacts with Christian theology. This approach to biblical interpretation views theology not as an obstacle to understanding but rather as a "clarifying agent" (Reno¹). It embraces theological traditions of the church and faith commitments in concert with exegetical practices. This article explores theological interpret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relevance theory, with special attention to the notion of metarepresentation, the "ability to represent not just states of the external physical world but also other representations, and representations of still further representations, etc., up to several orders of complexity" (Carston²). In any communication, metarepresentation allows us to reflect on mental states and attribute beliefs. Indeed, holding beliefs becomes essential to comprehension within communication. This article argues that theological interpretation is an approach to biblical interpretation that is consonant with the general cognitive architecture of the human mi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