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doi.org/10.2307/26421326
이 에세이는 두 가지 질문, 즉 교부 주해가 왜 중요한가, 그리고 현대 독자, 특히 대학에서 훈련받은 성서학자가 교부 주해를 읽음으로써 어떤 이점을 얻을 수 있는가라는 질문의 구별에서 시작한다. 교부 주해가 렉시오 디비나(Lectio Divina)라는 영성 훈련에서 중요한 역할을 해왔음을 지적하고, 이러한 이유로 신학 분야의 전문화와 파편화의 힘이 성서학자로서 신학적으로 사고하고 기독교의 오랜 주해 전통과 대화하는 능력을 약화시키는 몇 가지 방식에 대응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을 약속한다. 이 에세이는 성서학자들이 교부 주해에서 지속적인 가치를 발견하고 그곳에서 발견한 것을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을 찾으려면, 기독교 성경의 두 개의 약속(구약과 신약) 사이의 관계에 대한 명확한 이해와, 유대교 해석 및 실천에서 동일한 성경 본문이 지속적으로 살아 움직이는 방식을 고려하여 어떻게 그리스도를 구약에서 찾을 수 있는지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에세이의 나머지 부분에서는 약속 사이의 관계를 개념화하는 세 가지 현대적인 방식을 살펴본다. 이 중 첫 번째와 세 번째는 대치 신학의 위험을 피하면서 신약의 관점에서 구약을 읽는 방법을 허용하는 반면, 두 번째는 몇 가지 주의사항을 제시하고 성경 연구의 더 넓은 다원주의적 맥락에서 기독교 신학적 주해의 위치를 언급한다.
This essay begins with the distinction between two questions: why is patristic exegesis important, and why might a contemporary reader—particularly a university-trained biblical scholar—benefit from reading it? It observes that patristic exegesis ha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spiritual practice of lectio divina, and for this reason, it promises to help counter some of the ways in which the forces of professionalization and fragmentation in the theological disciplines undermine our ability to think theologically as exegetes and to converse with Christianity's long exegetical tradition. The essay argues that if biblical scholars are to find something of enduring value in patristic exegesis and some way of appropriating what we find there, we need a clearly articulated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Testaments of the Christian Bible, as well as an understanding of how Christ might be found in the first of those Testaments in a way that takes into account the ongoing life of these same biblical texts in Jewish interpretation and practice. The remainder of the essay explores three contemporary ways of conceiving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estaments. The first and third of these allow for ways of reading the OT in light of the NT that avoid the dangers of supersessionism, while the second offers some cautions and touches on the place of Christian theological exegesis in the larger pluralistic context of biblical stud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