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약 본문 비평과 칠십인역 본문 비평의 각 분야 학자들이 서로 자주 교류하지는 않지만, 두 분야는 전반적인 발전 과정에서 유사점을 공유한다. 즉, 19세기 후반과 20세기 초반의 비평판들은 엄청나게 방대한 양의 사본 데이터를 통합하는 주요 비평판들을 제작하려는 수십 년간의 국제적인 노력에 자리를 내주었다. 하지만 비평 본문 자체는 얼마나 변했을까. 이 논문은 그리스어 신약과 구약에 대한 지난 수십 년간의 연구에서 나타난 변화의 정도를 탐구하며, 재구성된 본문의 엄청난 안정성이 해당 분야 전반과 고대 사본의 질에 대해 무엇을 말해주는지에 대한 고찰을 제공한다.
Though their respective practitioners compare notes infrequently, the fields of NT and Septuagint textual criticism share resemblances in their overall trajectory. Namely, late nineteenth- and early twentieth- century critical editions have given way to decades-long international efforts to produce major critical editions that incorporate a staggeringly larger amount of manuscript data. But how much has the critical text itself changed? This article explores the magnitude of change over the past decades of work on the Greek NT and OT, offering observations about what the tremendous stability in the reconstructed text might tell us about the field(s) in general and the quality of ancient manuscrip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