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린도전서에 나타난 바울의 그리스도 형상적 지혜: 지혜의 목회적 해석학에 따른 종말론적 목적론적 계시

Paul’s Christomorphic Wisdom in 1 Corinthians: Eschatological Telic Revelation according to a Pastoral Hermeneutic of Wisdom

https://doi.org/10.5325/jtheointe.18.2.0244

이 논문은 최근의 이질적인 해석학적 제안들을 비교하여 기독교적 지혜 해석학의 본질적 요소들을 도출한다. 이는 복음의 은사와 부르심의 긴장을 포함하며, 그리스도를 본질적인 지향점으로 인식한다. 이 접근법은 고린도전서에 적용되며, 13장의 빛에서 1-4장을 (재)해석함으로써 바울의 지혜관이 헌신, 신념, 그리고 행동의 질적이고 총체적인 통합임을 보여준다. 바울에게 있어 그리스도의 복음은 내용과 초점에서 그리스도 중심적일 뿐만 아니라 형태와 효과에서도 그리스도 형태적이다. 이를 바탕으로, 이 논문은 고린도전서에서 바울이 참된 지혜를 교회의 그리스도 형태적 덕 세움으로 묘사한다고 주장한다. 이는 예수 그리스도의 지혜에 대한 종말론적 목적론적 계시를 향하며, 알려진 것과 아직 알려지지 않았으나 그리스도 안에서 계시될 것 사이의 본질적인 긴장을 포함한다.

This article compares recent disparate hermeneutical proposals in order to draw out essential elements of a Christian hermeneutic of wisdom, which involves the tension of the gift and call of the gospel and recognizes Christ as the essential point of orientation. This approach is applied to 1 Corinthians, (re)reading chs. 1–4 in light of ch. 13 and thereby demonstrating that Paul’s view of wisdom is a qualitative, holistic integration of devotions, convictions, and actions. For Paul, the gospel of Christ is not just Christocentric in content and focus, but also Christomorphic in form and effect. On this basis, this article argues that in 1 Corinthians Paul portrays true wisdom as the Christomorphic edification of the church toward the eschatological telic revelation of the wisdom of Jesus Christ, which involves an essential tension between what is known and what is unknown yet will be revealed in Christ.

Continue re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