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관복음에서 ἀφίημι의 다의성과 용서의 두 인지적 틀

The Polyvalence of ἀφίημι and the Two Cognitive Frames of Forgiveness in the Synoptic Gospels

https://doi.org/10.1163/15685365-12341489

공관복음서(및 그 외 문헌)에서 ἀφίημι(“용서하다”)의 용법은 용서의 주체가 하나님인지 인간인지에 따라 여러 면에서 달라진다. 본 논문은 이러한 차이가, 하나님만이 죄의 실체를 제거할 수 있고 하나님과 인간 모두가 죄의 도덕적 빚을 탕감할 수 있다는 인식이 언어 관습 속에 반영된 결과라고 주장한다. 분석에는 구문문법(construction grammar) 이론이 사용되며, 이는 통사와 의미가 분리될 수 없다고 전제하는 언어학적 접근법이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분석이 갖는 신학적 함의가 논의된다.

Depending on whether God or a human is the forgiving agent in the Synoptic Gospels (and beyond), the verb valence of ἀφίημι, “forgive,” differs in several ways. The present article argues that the differences are reflections in linguistic conventions of the cognition that only God can remove the substance of sin, while both God and humans can remit the moral debt of sin. Construction grammar, a linguistic theory which assumes that syntax and semantics are inseparable, is used in the analysis. Theologic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Continue re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