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대, 현대, 그리고 미래의 로마서 1:3–4 해석: 수용사와 성경 해석

Ancient, Modern, and Future Interpretations of Romans 1:3–4: Reception History and Biblical Interpretation

https://doi.org/10.2307/26421292

성경 본문의 수용사(Reception History)가 가장 유용하게 쓰이는 방식 중 하나는, 특정 본문에 대한 해석이 어떻게 그 본문을 읽는 해석학적 틀과 연결되어 있는지를 해석자들이 파악하도록 돕는다는 점이다. 로마서 1장 3-4절은 흥미롭고 중요한 시험 사례를 제시한다. 현대 해석은 이 구절들을 주로 종교사적 틀 안에서 해석하며, 초기, 그리고 대개는 양자론적(adoptionist) 기독론의 특정 버전을 뒷받침하는 역사적 단서를 찾으려 한다. 반면, 고대 해석은 압도적으로 이 구절들을 그리스도의 양성(two natures)에 대한 교리적 해석을 지지하는 것으로 읽으며, 주로 그리스도의 진정한 인성을 뒷받침하는 데 이 본문을 사용한다. 수용사를 통해 로마서 1장 3-4절에 대한 고대와 현대의 해석 모두 특정한 해석학적 틀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글은 이 구절의 의미를 파악하는 데 있어 우선적으로 중요한 것은 바울 자신의 로마서이며, 로마서에 나타난 바울의 더 넓은 논증 안에 이 구절들을 통합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고 제시한다.

One of the most valuable uses of the reception history of biblical texts is the way it enables interpreters to see how specific exegeses of texts are tied to the hermeneutical framework within which they are read. Romans 1:3–4 presents an interesting and important test case. Modern interpretations tend to construe these verses primarily within a history-of-religions framework, seeking historical clues to support a particular version of an early, and most often adoptionist, Christology. Ancient interpretations, on the other hand, overwhelmingly read these verses as supporting a dogmatic construal of the two natures of Christ, using the text primarily to support the real humanity of Christ. Reception history allows one to see that both ancient and modern readings of Rom 1:3–4 are intimately related to their specific hermeneutical frameworks. This article suggests that the primary matrix of meaning for these verses is, in the first instance, Paul's own letter to the Romans, and it seeks to integrate these verses within Paul's broader argumentation in Romans.

Continue re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