꾸란 비판, 역사적-비평적 방법, 및 성경 신학의 세속화

Quran Criticism, the Historical-Critical Method, and the Secularization of Biblical Theology

https://doi.org/10.2307/26421305

성서 역사 비평의 등장은 부분적으로 중세 코란 비판의 영향을 받았다. 이러한 배경은 19세기에 여전히 잘 알려져 있었지만, 그리스 문학에 대한 강조가 커지면서 잊혀졌다. 리콜도 다 몬테 디 크로체와 같은 학자들은 코란에 대한 비판적인 저술을 했다. 이 전통은 200년 후 독일에서 마르틴 루터가 리콜도의 "Confutatio Alcorani"를 번역하면서 다시 나타났다. 리콜도 작품의 특별한 특징은 그가 코란이 신의 계시가 아니라는 것을 증명하기 위해 사용한 기준이다. 유명한 이신론자 헤르만 라이마루스는 나중에 성경도 다른 문헌과 마찬가지로 읽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의 "볼펜뷔텔 단편"의 예는 대부분 코란에서 가져온 것이다. 라이마루스는 성경을 해석할 때 리콜도의 기준을 채택했다. 그의 합리주의적 비판의 목적은 모순, 불일치, 거짓말이 코란과 마찬가지로 성경도 신의 계시로 간주될 수 없음을 증명하는 것이었다. 라이마루스는 "합리적인 신 숭배자들을 위한 변명"에서 기독교 교리는 사도들이 예수의 죽음 이후에 전체 체계를 창조했기 때문에 사기에 근거한다고 진술했다. 예수의 원래 선포는 정치적이었다. 이후 다비드 슈트라우스의 라이마루스 전기에서 확인된 이 이분법은 신약 해석에서 비유사성 기준의 기초가 되었다. 루돌프 불트만은 이 기준을 현재의 형태로 제시했으며, 예를 들어 예수 세미나에서도 여전히 사용되고 있다.

The emergence of historical criticism of the Bible was partly influenced by medieval Quran criticism. This background was still well known in the 19th century but was later forgotten when emphasis was laid on Greek literature. Scholars such as Riccoldo da Monte di Croce had written critical works against the Quran. This tradition reemerged 200 years later in Germany when Martin Luther translated Riccoldo's Confutatio Alcorani. The special features in Riccoldo's work are the criteria he used hoping to prove that the Quran was not divine revelation. The famous Deist Hermann Reimarus later demanded that the Bible be read in the same way as other literature. His examples in Wolfenbüttel Fragments are mostly taken from the Quran. Reimarus adopted Riccoldo's criteria when interpreting the Bible. The purpose of his rationalistic criticism was to show that contradictions, inconsistencies, and lies prove that, as with the Quran, neither can the Bible be held as divine revelation. Reimarus, in his apology "for the Rational Reverers of God," stated that Christian doctrines are based on a fraud because the apostles created the whole Systema only after Jesus' death. Jesus' original proclamation was political. This dichotomy, confirmed later in David Strauss's biography on Reimarus, became the basis for the criterion of dissimilarity in NT interpretation. Rudolf Bultmann then gave this criterion its present formulation, and it is still used, for instance, by the Jesus Seminar.

Continue re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