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리스도께서 모든 피조물을 한데 모으러 오셨다”: 16세기 논쟁이 성경의 신학적 해석에 대해 주는 교훈

“Christ Has Come to Gather Together All the Creatures”: What a Sixteenth-Century Debate Teaches about the Theological Interpretation of Scripture

https://doi.org/10.5325/jtheointe.13.1.0053

이 연구는 16세기 중반 트리엔트 신학자 도밍고 데 소토와 스트라스부르 개혁가 마르틴 부처 사이의 논쟁을 분석한다. 그들 논쟁의 주제는 로마서 8장 19-22절과 그 "신음하는 피조물"의 의미였다. 토마스 아퀴나스를 포함하는 중세 해석 전통에 따라 작업한 데 소토는 이 구절들이 인간과 천체 외의 피조물들에게는 적용될 수 없다고 주장했다. 이와 대조적으로 부처는 해당 본문을 완전한 우주적 의미로 해석하는 것을 지지했다. 그들의 논쟁은 근대 초기의 스콜라적 해석과 인문주의적 해석의 분기점을 부각할 뿐만 아니라, 오늘날의 신학적 해석에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 특히 이 연구는 매튜 레버링, 한스 보어스마 등이 시도하는 최근의 “기독교 플라톤주의” 복원 시도와 대화한다. 데 소토와 부처의 논쟁은 “건전한” 성경 해석을 특정 형이상학 유파에 결부시키는 역사 서술에 심각한 도전을 제기한다고 주장한다.

This study analyzes a debate in the mid-sixteenth century between the Tridentine theologian, Domingo de Soto, and the Strasbourg Reformer, Martin Bucer. The subject of their controversy was the meaning of Rom 8:19–22 and its “groaning creation.” De Soto, working within a medieval tradition of interpretation that included Thomas Aquinas, argued that the verses could not have reference to creatures beyond human beings and the astral bodies. Bucer by contrast endorsed a fully cosmic reading of the text. Their debate not only highlights the diverging paths of scholastic and humanistic exegesis in the early modern period, but also holds lessons for theological interpretation today. In particular, this study dialogues with recent attempts to retrieve “Christian Platonism” by Matthew Levering, Hans Boersma, and others. It is argued that de Soto and Bucer’s debate presents serious challenges for historical narratives that bind “sound” biblical exegesis to a particular school of metaphysics.

Continue re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