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doi.org/10.5325/jtheointe.17.1.0109
본 논문은 칼 바르트의 빌립보서 2:1-11 해석 발전 양상을 그의 초기 빌립보서 주석부터 『교회교의학』 IV/1 §59의 심화된 독해에 이르기까지 기술한다. 빌립보서 2:1-11은 바르트 연구의 두 가지 중요한 지점이 교차하는 곳에 존재한다. 하나는 바르트 신학에서 성경 해석의 중요성을 탐구하며, 다른 하나는 바르트의 삼위일체와 선택론 간의 관계에 대한 통찰을 제공하기 위해 §59에서 성부와 성자 간의 명령-순종 관계에 대한 그의 설명을 집중 조명한다. 본 논문은 『교회교의학』 II/1에서 바르트의 빌립보서 2:1-11 해석에 중대한 전환이 있음을 발견한다. 여기서 바르트는 바울의 “그러므로”(빌 2:9)에서, 이 구절이 서술하는 예수 그리스도의 역사가 신성의 본질을 드러낸다는 시사를 찾는다. 바르트가 §59에서 그리스도의 경륜적 순종이 성자로서 그의 영원한 존재에 근거해야 한다고 주장할 때, 그는 『교회교의학』 II/1에서 사용한 것과 동일한 해석 전략을 적용하며, 이 전략은 바울의 “그러므로”(빌 2:9)에서 성경 해석적 근거를 찾음을 논한다.
This article offers an account of the development of Karl Barth’s interpretation of Phil 2:1–11, from his early commentary on Philippians to his mature reading in §59 of Church Dogmatics IV/1. Philippians 2:1–11 exists at the intersection of two significant loci in Barth studies: one seeking to examine the significance of exegesis in Barth’s theology, and another focusing on Barth’s explication of the command-obedience relationship between the Father and Son in §59 in order to offer insight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Trinity and election in Barth. This article finds a major shift in Barth’s exegesis of Phil 2:1–11 in CD II/1. Here, Barth finds in Paul’s “Therefore” (Phil 2:9) indication that the history of Jesus Christ, as narrated by this passage, reveals the essence of divinity. It is argued that when Barth claims in §59 that Christ’s economic obedience must be grounded in his eternal being as Son, he is employing the same interpretive strategy he uses in CD II/1, a strategy which finds its exegetical basis in Paul’s “Therefore” (Phil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