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가 하나님의 형상으로 계셨음에도 불구하고/계셨기 때문에\": 바울의 대서사(빌 2:6–11)의 신학적 중요성"

"Although/Because He Was in the Form of God": The Theological Significance of Paul's Master Story (Phil 2:6–11)

https://doi.org/10.2307/26421314

이 글은 빌립보서 2장 6-11절의 그리스도론, 윤리, 특히 (협의의) 신학적 측면을 2장 6절 해석에 초점을 맞춰 탐구한다. 여기서 분사 '휘파르콘(being)'의 양보적("~에도 불구하고") 해석과 원인적("~때문에") 해석 모두 옳으며 신학적으로 유의미하다고 주장한다. 전자는 텍스트의 표면 구조이고, 후자는 심층 구조이다. 표면 구조("~에도 불구하고...")는 바울이 자신의 서신 전체에서 그리스도론적, 윤리적으로 활용하는 언어적 패턴("~에도 불구하고 [x], [y]가 아니라 [z]")의 일부이기 때문에 중요하다. 동시에, 바울은 그리스도가 하나님의 형상 안에 계셨으며 "하나님과의 동등성"이 성육신과 십자가의 케노시스를 통해 적절하게 표현되었다고 말한다. 따라서 텍스트의 심층 구조는 원인적이라고 말할 수 있다: "~때문에...". 그러므로 바울은 우리로 하여금 하나님을 다시 생각하고 십자가 형태의 하나님, 즉 "케노시스적 신성"(크로산과 리드)에 대해 말하도록 강요한다. 이 글은 또한 성육신과 십자가는 그리스도의 참된 신성과 그의 참된 인성을 드러내고, 승귀는 이를 인정한다고 주장하며, 이는 모두 칼케돈 방향으로 우리를 이끌지만 바울적인 (십자가 형태의) 반전을 포함한다. 이러한 해석에서 드러나는 바울의 하나님 이해는 존 웹스터의 "관계 속의 위엄"으로서의 신성 개념과 연결되는데, 바울에게 이것은 연약함 속의 힘을 의미한다. 이러한 직관에 반하는 하나님에 대한 관점은 (특히 군사적) 힘에 초점을 맞춘 대중적인 신성 개념과 대조되며, 반제국주의적 삶의 방식의 기초로 제시된다.

This article explores aspects of the Christology, ethics, and especially theology (proper) of Phil 2:6–11 by focusing on the interpretation of 2:6. It contends that both the concessive ("although") and the causative ("because") interpretations of the participle hyparchōn ("being") are correct and theologically significant, the former being the surface structure of the text, the latter its deep structure. The surface structure ("although...") is significant because it is part of a linguistic pattern that Paul exploits Christologically and ethically throughout his letters ("although [x] not [y] but [z]"). At the same time, because Paul says that Christ was in the form of God and that "this [anaphoric definite article to] equality with God" was properly expressed through the kenosis of incarnation and crucifixion, we can say that the deep structure of the text is causative: "because...." Thus Paul compels us to rethink God and to speak of a cruciform God or "kenotic divinity" (Crossan and Reed). The article also argues that the incarnation and cross manifest, and the exaltation recognizes, both Christ's true divinity and his true humanity, all of which lead us in a Chalcedonian direction, though with a Pauline (cruciform) twist. The understanding of God in Paul that emerges from this interpretation is then linked to John Webster's notion of divine holiness as "majesty in relation," which, for Paul, means power in weakness. This counterintuitive view of God is contrasted with popular notions of divinity that focus on (especially military) power and is offered as the foundation of a counterimperial lifestyle.

Continue re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