겟세마네의 예수님과 아빠: 자녀적 협력의 중심

Jesus and Abba in Gethsemane: A Center in Filial Cooperation

https://doi.org/10.5325/jtheointe.15.1.0063

예수께서 자발적으로 예루살렘에 가서 고난과 죽음을 겪도록 동기를 부여하고 힘을 실어준 것은 무엇인가? 그는 예루살렘에서의 치명적인 대결을 피할 수 있었으나, 비극적인 결말에도 불구하고 그것을 감내할 작정이었다. 이 상황은 고난과 죽음에 직면하여 자신의 의도를 수행하는 데 그에게 힘을 실어준 것이 무엇인지에 대한 설명을 요구한다. 그러한 설명은 우리를 주변부에서 예수의 자기 이해와 사명의 중심으로 이끈다. 예수께서는 히브리 성경의 관점에서 하나님을 “아빠, 아버지”로 이해하였으나, 아빠로서의 하나님에 대한 자신의 경험을 고려하였다. 이 글은 마가복음의 겟세마네 서사를 사용하여 예수의 아빠 관계를 규명하며, 겟세마네에서의 예수의 순종이 그 자체로 목적이 아니라 더 근본적인 목적을 위한 수단이었는지 질문한다. 우리는 순종이 이 관계에 충분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왜냐하면 순종적인 행위는 하나님과의 협력적인 반응적 자녀 관계에 미치지 못하기 때문이다. 하나님께 대한 협력적인 자녀다운 반응성은 예수의 자기 이해에 핵심적이다. 자녀다운 종류의 종교적 경험은 예수의 정체성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이 경험과 동반하는 자녀 관계를 소홀히 한다면, 우리는 예수와 그의 사명을 이해하는 데 실패한다.

What motivated and empowered Jesus to go, willingly, to Jerusalem to undergo suffering and death? He could have chosen to avoid the fatal confrontation in Jerusalem, but he intended to endure it, despite its tragic end. This situation calls for an explanation in terms of what empowered him in carrying out his intention while facing suffering and death. Such an explanation takes us beyond the periphery to the center of Jesus’s self-understanding and mission. Jesus understood God as “Abba, Father,” in the light of the Hebrew Bible, but he factored in his own experience of God as Abba. This article uses the Gethsemane narrative of the Gospel of Mark to identify Jesus’s Abba relationship, asking whether Jesus’s obedience in Gethsemane was a means to a more basic end rather than an end in itself. We shall see that obedience is not sufficient for this relationship, because obedient actions fall short of a cooperatively responsive filial relationship with God. Cooperative filial responsiveness to God is central to Jesus’s self-understanding. Religious experience of a filial sort plays a key role in the identity of Jesus. In neglecting this experience and the accompanying filial relationship, we fail to understand Jesus and his mission.

Continue re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