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doi.org/10.2307/26421380
최근의 성경 해석이 일종의 '퍼포먼스'라는 주장에 기반하여, 이 글은 누가복음 24장의 "엠마오로 가는 길" 이야기를 살펴본다. 거기서 예수는 길 위에서의 말(verbal performance)과 엠마오에서의 식사(table performance)라는 두 가지 퍼포먼스를 통해 성경의 권위 있는 해석자로 제시된다. 누가의 예수 길 위 퍼포먼스 묘사는 그리스도를 위해 성경 (곧 기독교 구약이 될)을 주장하는 동시에, 교회가 그리스도 중심적인 해석을 하도록 자유롭게 한다. 낙심한 제자들과 부활한 그리스도의 대조를 통해, 예수는 성경 이야기를 알 뿐만 아니라 그 이야기가 어디로 향하는지 아는 존재임을 드러낸다. 엠마오에서의 식탁에서, 부활한 예수는 퍼포먼스를 통해 제자들이 자신을 알아보도록 유도한다. 그는 이전의 식사들과 유사한 두 가지 행동을 통해 자신의 정체성을 연기한다. 즉, 주인의 역할을 맡고, 오천 명을 먹이신 기적과 최후의 만찬과 유사한 특징적인 네 가지 행동을 한다. 이전의 식사들이 하나님의 구원을 회상하고 예견하는 성경의 퍼포먼스였던 것처럼, 엠마오에서의 예수의 빵 떼기는 그의 죽음과 부활 안에서 성취된 성경을 연기한다. 예수의 식탁 퍼포먼스에 다시 초점을 맞추면, 초기 기독교 관행이나 누가의 의도에 대한 시대착오적인 주장을 피하면서도, 그 식사들, 사도행전의 빵 떼기, 그리고 후대의 성찬 사이의 명확한 연결 고리를 찾을 수 있다. 마지막으로, 이 글은 "텍스트 토크(text talk)"와 식탁 퍼포먼스가 어떻게 두 제자가 예루살렘에서 성경에 충실한 자신만의 퍼포먼스를 즉흥적으로 연기하도록 하는지를 보여준다.
Using recent claims that scriptural interpretation is a kind of performance, this article examines the "Walk to Emmaus" in Luke 24. There Jesus is presented as the authoritative interpreter of Scripture, both in his verbal performance on the road and his table performance in Emmaus. Luke's telling of Jesus' performance on the road both claims the Scriptures (soon to become the Christian OT) for Christ and frees the church for Christological readings. Luke's contrast between disheartened disciples and risen Christ reveals Jesus as the one who not only knows but is where the scriptural story is going. At table in Emmaus, the risen Jesus prompts their recognition by performance. He performs his identity by two enacted resemblances to prior meals: taking the role of host and a characteristic fourfold action that is recognizably similar to the feeding of the 5,000 and the Last Supper. Just as those prior meals were themselves performances of Scripture, both recalling and anticipating God's redemption, so Jesus' breaking of bread in Emmaus performs Scripture fulfilled in his death and resurrection. Refocusing on Jesus' table performance allows a clear connection between those meals, the breaking of bread in Acts, and the later Eucharist, while avoiding anachronistic claims about early Christian practice or Lukan intentionality. Finally, the article displays how "text talk" and table performance enable the two disciples to improvise their own faithful performance of Scripture in Jerusal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