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doi.org/10.5325/jtheointe.11.2.0181
에마뉘엘 레비나스는 자신의 철학 저작 외에도 직접 쓴 탈무드 주석서들을 저술했다. 그는 자신의 탈무드 학습이 전후 시기 레비나스에게 영향을 준 수수께끼 같고 신비로운 스승 슈샤니에게서 비롯되었다고 말한다. 레비나스는 근대 역사비평적 성서 해석 방법의 부상에 거의 신뢰를 두지 않는다. 오히려 그가 슈샤니에게 배운 방법은 랍비 및 탈무드 해석의 고대 관행에 기반을 두었다. 탈무드 텍스트가 가르치는 의미는 기호, 이야기, 가르침으로 가득 찬, 깊이 상징적인 경전의 우물에서 비롯된다. 레비나스에 따르면, 우리는 경전에서 발견되는 더 깊은 의미의 우물에 접근하기 위해 역사적 방법에만 의존할 수 없다. 이 에세이는 레비나스의 역사비평 비판을 탐구하고, 그가 자신의 탈무드 주석에서 제안하는 몇 가지 해석학적 접근법을 추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Along with his philosophical works, Emmanuel Levinas also produced collections of his own Talmudic commentaries. He credits his Talmudic learning to an enigmatic and mysterious teacher, Chouchani, who influenced Levinas in the postwar years. Levinas gives little credence to the rise of modern historical-critical methods of exegesis. Rather, the method he learned from Chouchani drew on ancient practices of rabbinic and Talmudic interpretation. The meanings taught by Talmudic texts are drawn from the deeply symbolic well of Scripture, filled with signs, stories, and teachings. According to Levinas, we cannot rely solely on an historical method to access the deeper well of meanings found in the Scriptures. The aim of this essay is to explore Levinas's critique of historical criticism and to distil some of the hermeneutical approaches he proposes in his Talmudic commentar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