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doi.org/10.2307/26373923
이 글은 해석자의 목표 중 하나가 성경을 오늘날에 '적용'하는 것이라는 통상적인 견해를 비판하고 대안을 제시한다. 먼저, 이러한 접근 방식의 한 가지 전형적인 예(하워드 마샬의 『성경 너머』)를 다룬다. 이는 일반적인 해석학적 관심사를 대표하는 설명이다. 이어서 나는 이 설명이 충분히 다루지 못하는 한 가지 핵심적인 신학적 개념이 바로 정경(canon), 특히 기독교 성경의 두 증언(구약과 신약) 구조임을 제안한다. 이는 시간의 비유적 구성 방식에 즉각적인 함의를 갖는다. 이 방식은 구약을 신약에 연결하며, 이는 '오늘'(오늘이라고 불리는 한)을 이해하는 방식에 신학적으로 규범적인 의미를 부여한다. 더 간략히, 나는 또한 정경이 '그때'에서 '지금'으로(또는 '거기'에서 '여기'로) 이동하는 개념과는 다른 것을 요구하는 '제2세계' 또는 현실에 대한 사실적인 설명을 제시한다고 주장한다. 결론적으로, 만약 현재에 대한 성경의 관련성을 이처럼 풍부하게 하거나 심화시키는 설명을 추구한다면, 결국 강조되고 탐구될 문제들과 질문들은 신학적으로 중요할 뿐만 아니라 오늘날의 상이한 형태의 문제들과 질문들에도 관련성을 가질 것이라고 나는 확신한다.
This article offers a critique of—and an alternative to—the commonly held view that one of the goals of the interpreter is to "apply" the Bible to today. First, we will consider an exemplar of this sort of approach (Howard Marshall's Beyond the Bible), an account not atypical of common hermeneutical concerns. I then suggest that one key theological notion that does not sufficiently trouble this account is that of canon, in particular the two-testament structure of Christian Scripture. This has immediate implications for the resultant figural structuring of time, which maps OT into NT in ways that are theologically programmatic for how we understand "today" (as long as it is called today). More briefly, I also argue that the canon sets forth a "secondary world" or a realistic account of reality that again requires something other than a notion of moving from "then" to "now" (or from "there" to "here"). In conclusion, I wager that, if one pursues this kind of enriching or intensifying account of the relevance of Scripture to the present day, then the kinds of issues and questions that will end up emphasized and probed will be both theologically important and also of relevance to today's differently shaped issues and questions.